['지역 네트워크'로 경제도약 이루자] (2) '지방에너지 증폭'
입력
수정
그동안 국토전략은 수도권의 경제력을 극대화한 다음 넘치는 '동력'을 지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려 보낸다는 전략이었다.
이에 따라 서울~수원~천안~아산~대전으로 이어지는 개발축이 80년대 후반부터 구체화 단계에 들어갔고 아산만 공업단지와 평택항 건설 등은 그 산물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서울을 중심축으로 상정하고 '수도권을 충청권으로 확장하는' 전략이었다.
박양호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실장은 "80~90년대의 아산권 개발,서해안 개발 역시 '서울 일극 집중형 불균형 성장'이라는 60~70년대 개발논리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면서 "차기 정부가 추진하려는 행정수도 이전을 통한 지역 발전은 수도권과 중부권을 '투톱 시스템'으로 가져 간다는 것으로 과거와는 맥을 달리한다"고 진단했다.
중부권을 '국토의 핵'으로 가져갈 경우 남한 전역이 행정수도를 중심으로 '반나절 생활권'에 속하게 된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낙후감' 내지는 '변두리' 정서에서 벗어나는 것만으로도 지역 균형발전의 물꼬를 트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으로서는 행정수도가 떨어져 나간다기보다 '수도권의 영역이 충청권으로 확장된다'고 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고속철도 개통 등으로 수도권과 중부권이 시간 거리 측면에서 사실상 연계될 것이기 때문이다.
◆전국의 범(汎)수도권화=대전을 중심으로 중부권에 행정수도가 들어서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으로 묶여진다.
전국토 차원에서 볼 때 수도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그동안 수도권 대 비(非)수도권으로 국토를 양분하던 기준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의견이다.
그동안 전국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차량으로 대략 5∼6시간.하지만 중부권의 촘촘한 교통 인프라를 이용하면 전국 어디에서나 신(新)행정수도에 1∼2시간이면 다다를 수 있게 된다.
조주현 건국대 교수는 "중부권은 접근성 측면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보다 월등한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다"며 "행정수도가 중부권으로 이전되면 전국이 범(汎)수도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고 설명했다.
◆교통 인프라 앞세운 균형발전 전진기지=중부권에는 국토의 대동맥인 고속도로망이 동서남북으로 힘차게 뻗어 있다.
기존 경부 호남 중부 등 기간 고속도로망에 이어 지난해에는 서해안 고속도로와 대전∼진주간 고속도로가 개통됐다.
또 민간자본으로 처음 건설된 천안∼논산간 고속도로와 현재 건설 중인 당진∼대전,서천∼공주간 등 동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충청권은 하나의 거대한 물류 중심기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와 함께 지난 92년 착공한 경부고속철도 1단계 사업인 서울∼대전 구간이 오는 12월께 개통된다.
이로써 서울과 천안은 30분대 생활권,대전은 1시간대로 좁혀진다.
충남대 육동일 교수는 "행정수도의 사통팔달 교통망을 국토 균형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촉매제로 활용해야 한다"며 "특히 수도권을 벗어난 주거지와 교육타운으로 각광받게 될 천안·대전지역에 대한 도시계획이 치밀하게 세워져야 한다"고 말했다.
오는 2015년 개통 예정인 호남고속철도 역시 충청권과 호남,그리고 수도권을 1시간대 생활권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해 새 행정수도가 갖는 시너지 효과는 엄청날 것이라는 지적이다.
대전=백창현?홍성원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