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유.무선 통합상품 논란 .. SK텔.후발社 "시내망 독점활용" 반발
입력
수정
KT가 SK텔레콤과 후발사업자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17일 무선랜과 이동통신 통합상품을 전격 출시한다.
SK텔레콤 등은 KT가 독점적 지위를 이용,현행 전기통신사업법이 금지한 결합(번들)상품 판매행위를 하는 것인 만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KT는 이번에 출시한 통합상품의 경우 가격 할인이 없고 무선랜과 이동통신 상품을 단순히 공동 판매하는 것뿐이라며 문제될 게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KT의 복합상품=KT는 무선랜서비스인 '네스팟'과 KTF의 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EV-DO)을 연계한 '네스팟 스윙'서비스를 1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개인휴대단말기(PDA)를 이용해 무선랜이 설치된 지역(전국 8천5백여곳)에서는 값이 싼 무선랜으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게 하고 그외 지역에서는 이동전화망을 활용,끊김없이 인터넷을 즐기게 해주는 것이다.
윤종록 KT 마케팅 기획본부장은 "특정지역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무선랜과 지역 제한이 없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결합한 상품"이라고 말했다.
KT는 다른 이동통신업체들이 희망할 경우 같은 방식의 사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경쟁업체 반발=SK텔레콤 등이 KT의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는 이유는 독점력이 더욱 심화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네스팟 스윙'에선 가격 할인을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월 2만5천원인 무선랜 이용요금을 1만원 수준까지 낮춰 이동전화 가입자를 빼앗아 갈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KT의 무선랜은 이미 투자가 끝난 시내유선망에 의존하는 까닭에 다른 사업자와 공정경쟁이 불가능하다"며 "시내망의 독점적 지위를 기반으로 이동통신시장도 장악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KT가 다른 사업자에게 문호를 개방한다고 했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하나로통신과 LG텔레콤 등도 같은 입장이다.
반면 KT는 무선랜이 기업 전용선 등 다른 망도 활용하고 있어 시내망의 독점력 활용이라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라고 반박했다.
또 해외 통신업체들이 무선랜 사업을 강화하고 있어 장비·콘텐츠업체 육성과 산업 활성화를 위해 결합상품 출시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정통부 입장=정통부 관계자는 "유·무선 통합상품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불공정행위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겠다"고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신기술에 의한 새 서비스 육성 차원인지,아니면 단순히 가입자 확보를 위한 마케팅 차원인지가 불공정 행위여부 결정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