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컨소시엄 성과 좋다
입력
수정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컨소시엄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절반이 기술개발을 통해 기업당 평균 1억5천2백만원의 매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재단은 지난 2000년 산·학·연 컨소시엄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3백6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 50%인 1백51개사가 기술개발로 기업당 평균 1억5천2백만원의 매출액 증대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75%는 사업참여로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특히 공동연구 결과 특허·실용신안·의장 등록 건수는 업체당 평균 1.35건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도 국내 전체기업의 평균 실적인 0.08건보다 훨씬 많은 수치다.
또 20%인 61개사는 99건의 정부 및 기술관련 협회의 포상과 인증마크를 획득했다.
참여 기업들은 컨소시엄 사업의 효과로 △사내 기술축적(85.6%) △개발의욕 고취(81.4%) △경쟁기업과 제품 차별화(71.2%) △시장개척(55.9%) 등을 꼽았다.
조사기업의 약 40%는 기술개발로 고용창출 효과를 거뒀다고 답했으며 업체당 평균 1.09명의 신규인력 채용 실적을 기록했다.
참여 기업들은 컨소시엄 사업의 문제점으로 △자금지원 부족(54.7%) △불확실한 시장성(33.3%) △연구개발 능력 부족(11.8%) 등을 꼽았다.
또 관련제도 정비 및 지원기관간 업무분장 명확화,온라인 보고 체제 확립,수행과제의 DB화 등을 개선점으로 지적했다.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컨소시엄 사업은 기술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청과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대학 및 연구진과 중소기업을 연결,자금을 지원해 R&D 활동을 돕는 제도로 지난 93년 처음으로 실시됐다.
올해엔 3백81억원이 투입된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