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초읽기] "부시 통첩은 국제사회 도전행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이라크 최후통첩'과 관련,일본 호주 등 몇개국을 제외한 대부분 나라들은 즉각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미국이 유엔을 등지고 일방적으로 대이라크 전쟁을 선언,1945년 이후 유지해온 '집단안보체제'를 무너트렸다는 것이다. 미국 주도의 군사공격을 비난하는 반전시위도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18일 오전 성명을 내고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최후통첩은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이며 미국은 이로 인한 결과에 대해 중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유엔만이 무력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다"며 "미국의 일방적 결정은 이라크 무장해제가 지속되기를 원했던 안보리 희망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통첩은 유엔과 논의 없이 이뤄졌다"고 비난했다. 프랑스와 함께 이라크 공격 반대를 주도해온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도 이날 독일 전역에 TV 방송된 성명을 통해 "세계가 전쟁 전야에 있지만 이라크 독재자(사담 후세인)가 제기하는 위협의 수준이 수천명의 무고한 남자와 여자,어린이들의 목숨을 앗아갈 전쟁을 정당화해 주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라면서 "내 대답은 여전히 '노(NO)'라고 강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전쟁은 세계의 안전을 위협한다"며 부시의 '최후통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며 러시아 언론들도 미국의 대이라크 최후통첩을 '피에 굶주린' 최후통첩으로 묘사하면서 미국을 비난했다. 중국의 원자바오 신임부총리도 "부시 대통령의 최후통첩에 주목하고 있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 1441호를 중심으로 한 평화적·정치적 해결이 중국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장 크래티앵 캐나다총리는 "이라크재건에는 동참하겠지만 군대를 파견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역시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 그동안 애매한 입장을 취했던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총리는 "부시 대통령의 최후통첩 연설은 부득이한 결단이며 미국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존 하워드 호주총리는 미국의 입장에 지지의사를 분명히 하고,이라크 외교관들에게 이번 주말까지 호주를 떠나달라고 요청했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