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형 불황 조짐 .. 가계빚.개인부실에 '사스 쇼크'까지

민간 소비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내수형 경기불황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쇼크'까지 가세해 국내 경제가 더한층 험난한 시련에 빠졌다. 사스 추정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가뜩이나 부진의 늪에 빠져있던 유통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지난 2∼3년간 국내 경기를 지탱해온 민간 소비가 더욱 움츠러들고 경기전반이 구조적인 불황단계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경상수지 적자폭이 커지고 있고 교역조건마저 악화되고 있어 당분간 체감경기는 더한층 얼어붙을 공산이 커졌다. ◆ 위축되는 민간소비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4분기중 도소매 판매는 99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0.2%)했다. 도매는 1%, 소매는 0.5% 각각 감소했다. 경기를 가장 잘 반영한다는 백화점 매출은 1.4분기중 2.5% 줄었다. 내수용 소비재 출하도 1.7% 감소했다. 이에 따라 기업 창고에 쌓인 재고는 11.4%나 늘어났다. 국내 경기의 침체 이외에 소비 부진의 요인으로 꼽혔던 미.이라크전쟁의 불확실성은 걷혀졌지만 사스 쇼크가 돌출함에 따라 향후 경기를 가늠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백화점 할인점 등 유통업계는 '가정의 달'로 연중 최대의 대목을 기대했던 '5월 특수(特需)'가 사스 직격탄을 맞게 돼 초비상 상태다. ◆ 당분간 회복 어려울 듯 박재하 금융연구원 거시경제팀장은 "정부의 신용카드 정책이 바뀌면서 소득 범위를 벗어나 돈을 써왔던 계층이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게 됐다"며 소비심리가 조만간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다. 특별소비세를 없애거나 세율을 인하하는 등 그동안의 소비촉진 정책도 지금의 반사적인 소비위축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2001년 말 특소세 인하조치 이후 자동차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2002년 1.4분기 내구재 소비가 31.1%나 증가한 것이 지금의 상대적인 위축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강호인 재정경제부 경제분석과장은 "자동차나 가전제품은 한번 사고나면 일정기간 동안 소비가 다시 일어나지 않는 속성이 있다"며 "내구재 소비가 줄어드는 것은 당분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 국제수지 감소로 소비여력 둔화 3월중 경상수지가 11억9천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직접적인 원인은 유가 급등이었다. 지난해 말 배럴당 평균 26.4달러(두바이유 기준)였던 국제 유가는 지난달에는 32달러대로 치솟아 석유수입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2.8% 늘어났다. 수출은 전월 대비 16.3% 증가했으나 늘어나는 수입액을 쫓기엔 역부족이었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단가가 개선되지 않아 교역조건도 악화된 것으로 추정됐다.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되면 원화 가치가 떨어져 달러로 환산한 국민소득은 줄어들고 그만큼 소비여력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사스 추정환자 발생으로 인해 미국 유럽 등 한국의 주요 교역국들이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수입을 꺼릴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걱정스런 대목이다. ◆ 소득.고용도 불안 허찬국 한국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센터장은 "소비자들이 향후 소득과 고용에 대한 확신이 없어 씀씀이를 줄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허 센터장은 "자산거품이 붕괴된 일본과 같은 소비불황이 국내에서 시작됐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올해 안에 소비가 회복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신규 고용을 늘리지 않는 한 소비가 늘어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며 오히려 그동안 내수시장이 떠받쳐왔던 고용시장 역시 악화될 우려가 크다는 얘기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