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헤파가드정' 개발 정태호 명예교수
입력
수정
"여생 동안 더욱 개선된 B형간염 치료제 연구에 매진하겠습니다."
최근 시판에 들어간 생약성분의 간염 치료제 '헤파가드정'을 개발한 경북대 의대 정태호 명예교수(73)는 "헤파가드정은 40여년간 지속된 B형간염 바이러스 연구의 결과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헤파가드정은 진주초(필란투스 유리나리아)에서 추출한 생약제제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약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재발률이 낮다"며 "기존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거나 기존 치료제로 고칠 수 없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B형간염 예방주사가 보편화된 80년대 이후부터 간염 환자들이 많이 줄었지만 산모가 보균자일 경우 아기에게 병이 옮는 '모자간 수직감염' 사례는 여전히 빈번하다"고 설명했다.
헤파가드정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일반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아 지난 16일부터 시판에 들어갔다.
이 약은 전문의약품이 아닌 일반의약품으로 허가받았기 때문에 간염 환자들이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직접 사서 복용할 수 있다.
대학(경북대 의대) 재학 때 간염 연구의 권위자인 정환국 교수를 통해 간염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정 교수는 지난 1958년 수도육군병원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면서 본격적인 간염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연구자들 사이에서 간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진주초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정 교수의 이같은 노력은 성과를 거뒀다.
오랜 연구 끝에 국산 진주초가 외국산에 비해 뛰어난 간염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같은 효과는 각종 임상시험에서도 입증됐다.
97년에는 정 교수의 진주초 추출물을 복용하고 B형간염을 치료한 홍콩 섬유재벌 제로쿠 사장 등의 투자로 ㈜헤파가드(대표 최광배)가 설립되면서 헤파가드정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됐다.
정 교수는 "식약청 허가를 위해 9개월간 시행한 임상시험 결과가 예상에 못미쳤다"며 "생약은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므로 1년 이상 장기간 임상시험을 진행했다면 치료효과가 더 높게 나왔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앞으로 간염 치료제와 함께 간암 치료제 연구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