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에너지 '이제는 地熱'.. 지질자원硏, 포항서 첫삽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태섭)이 국내 처음으로 지열(땅속 열)을 이용한 난방 에너지개발에 나섰다. 지질자원연구원은 12일 우리나라에서 지열 에너지 자원의 부존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리 일원에서 심도 1㎞ 시험 시추공 굴착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시추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지열연구부 지열자원연구팀 송윤호 박사가 주관했다. 연구원은 시추작업에 앞서 최근 주변 일대에서 각종 지질조사 및 심부 정밀 물리탐사작업을 한 결과 포항 흥해 성곡지역의 지열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이날 2개의 시추공 굴착작업을 통해 지열 에너지 자원의 부존 및 경제성이 확인되면 2004년에 이를 바탕으로 실제 에너지를 개발하게 될 심도 2㎞의 고난도 시추공사를 하게 된다. 지열 에너지 개발이 성공되면 이 곳에서는 1개 공당 섭씨 75도의 지열수 1천2백t이 생산돼 1개 공당 31평 아파트 1천5백 가구 규모의 난방 및 급탕이 가능하다고 조사팀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국내에서 태양열 풍력 조력에 이어 지열을 대체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한 시추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 [ 용어 풀이 ] ◆지열 에너지= 지하에 갇혀 있는 물(지하수)로부터 나오는 열을 의미하며 온도가 섭씨 40-75도로 일반 온천수(25도)에 비해 높다. 난방에 이용하고 난 온수는 온실 등의 시설영농에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