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코너] 日 우정공사의 '횡재'
입력
수정
정부조직인 우정사업청에서 특수법인으로 지난 4월부터 신분을 바꾼 일본 우정공사가 입찰 방식 손질 하나로 무려 11억엔 (약 1백10억원)의 횡재를 했다.11만여명의 직원들에게 입힐 유니폼 58만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입찰에서 평균낙찰가가 예정가의 절반에도 못 미친 것.
공사는 정부조직으로 운영되던 지난 해까지의 관례를 감안,20억7천만엔을 예정했지만 업체들은 총 9억6천6백만엔이면 충분하다면서 군말 없이 계약서에 도장을 찍었다.
한 벌에 8천엔 정도를 예상했던 남자직원의 상의는 2천6백16엔까지 낙찰가가 내려갔다.
입찰 참가업체는 모두 29개사.작년까지 단골로 참가했던 17개사에 12개사가 추가됐다.
우정공사가 한 일은 문턱을 낮춘 것이 전부였다.
'20% 코스트 삭감'을 금년 목표로 박아 놓은 우정공사는 이번 입찰을 계기로 고비용 체질 개선에 메스를 더 깊이 들이 대겠다는 눈치다.
언론은 관청의 보호막 속에 안주하며 비용 개념을 외면했던 과거 공무원 조직의 폐해가 드러났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정공사의 사례는 낙하산 인사와 규제 사슬이 판치는 일본 공무원 사회의 치부를 보여 준 해프닝이고 보면 여기에 한국을 평면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하지만 전하는 메시지는 결코 가볍지 않다.
법률과 관례를 방패삼아 거품과 군살을 당연한 것처럼 여겨 온 정부 부처와 공무원들이 과연 우리 주위에는 없는가?
미쓰이상선 회장에서 우정공사 최고책임자로 변신한 이쿠다 마사하루 총재는 내정 사실 발표 때부터 관청가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반대를 무릅쓰고 기업인을 요직 중 요직에 앉힌 이유는 유니폼 입찰에서도 뚜렷이 읽혀지고 있다.
비즈니스 마인드와 원가의식을 들이대지 않는 한 관료조직의 거품과 군살은 없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쿄=양승득 특파원 yangs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