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후유증' 크다 ‥ 부산항 국제신뢰 추락

화물연대 컨테이너 위·수탁지부 조합원들의 업무 복귀로 물류 수송은 정상을 되찾았지만 3개월 만의 재파업으로 인해 부산항의 국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특히 일부 컨테이너 운송회사가 복귀 의사를 밝힌 화물연대 차주들을 모두 수용하지 않고 선별적으로 재계약하기로 한 데다 파업 피해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도 낸다는 방침이어서 이에 반발하는 화물연대 조합원들과 재충돌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화물연대 지도부는 5일 업무 복귀 여부를 논의했지만 상당수 조합원들이 이같은 운송사측의 방침에 반발하는 바람에 입장 조율에 어려움을 겪었다. ◆우려되는 파업 후유증=일부 대형 운송회사들의 '선별 재계약' 방침은 상당한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이날 건설교통부 회의실에 모인 10개 대형 컨테이너 운송회사 대표 중 상당수는 "명분없는 재파업으로 회사에 엄청난 손해를 입혔는데 어떻게 전부 다 받아주느냐"며 선별 재계약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부 운송사들은 복귀 의사를 밝힌 위·수탁 차주들에 대한 분류작업을 끝내고 재계약 대상자에게 개별 통보하는 과정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수탁 차주들은 이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4일 부산지부 투표에서 80%가량이 '계속 투쟁'을 결정한 것도 이에 대한 불만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운송회사측이 선별 재계약을 강행할 경우 재계약에 실패한 차주를 중심으로 또 다른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대형 화주들이 제기키로 한 운송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도 새로운 분쟁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부산항의 부두 운영사들과 생산 및 수출에 차질을 빚은 일부 개별기업들은 '이번만큼은 그냥 넘어가지 않겠다'는 태세다. ◆부산항 신뢰도 추락=화물연대 재파업이 남긴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국제적으로 '부산항은 불안한 항만'이란 인식이 확산됐다는 점이다. 3개월 만에 또다시 운송 거부 사태가 일어난 탓에 부산항 기항이 가능한지를 묻는 외국선사들의 확인 전화가 빗발쳤고 일부 화주들은 환적항 변경을 요구하기도 했다. 잇단 파업으로 이미 중국 차이나시핑 등 외국선사들이 떠난 탓에 지난해까지 세계 3위의 컨테이너 처리량을 자랑했던 부산항은 이제 5위로 밀려났다.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터미널 최효민 실장은 "2차 파업 이후 중국 등지로 환적항 이전을 검토하는 외국선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 외국선사 관계자는 "막대한 돈을 들여 개발 중인 신항만도 환적화물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라며 "정부는 물류 차질이 더 이상 없다는 확신을 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산=김태현·오상헌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