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中企수출 발목잡는 운송비
입력
수정
경기도 시화공단에 있는 대모엔지니어링은 굴삭기 장비를 만들어 80%정도를 수출하고 있다.
기술개발과 해외영업에 노력한 끝에 올매출은 지난해보다 30%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해외시장을 뚫고 한숨을 돌리자 엉뚱한 곳에서 장벽이 나타났다.
올 들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물류비용이 그것이다.
"몇년째 보합세를 유지하던 해상운임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지난해말 ㎥당 50달러선이던 부산과 미국서부 간의 해상운임은 지금 65달러선까지 올랐습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올 들어 분기마다 5∼10%씩 해상운임이 뛰고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다 미국 신관세법에 의해 적하예정품목을 사전통보하게 돼 미국 운송선박업체와 선박운송 중개업체들은 사전통보에 따른 추가수수료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설상가상으로 육상운송비용마저 수출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다.
올해 두차례에 걸친 화물연대 파업기간동안 대모엔지니어링은 지난해보다 운송비용이 20% 늘어났다.
10월부터는 육상비용이 또 10%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대모엔지니어링뿐이 아니다.
운송비용 증가는 대부분의 수출 중소기업들에 큰 짐이 되고 있다.
반월공단에 위치한 한국볼트는 물류비용이 50%가까이 오르면서 매출목표를 낮춰 잡아야 했다.
한국볼트 관계자는 "가격에서 해상운임이 차지하는 비율이 10%가 넘는데 운임이 이같이 오르면 수출경쟁력이 생기겠느냐"고 반문했다.
수출업체들이 걱정하는 것은 운송비용 증가가 일시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게다가 중소기업은 협상력이 약해 운송비용을 깎기도 힘들다.
취재중 만난 한 중소기업 사장은 "앞으로도 이런 양상으로 요금이 인상되고 중국업계의 기술력이 올라가면 국내 중소기업들은 수출을 꿈도 꾸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한숨을 내쉰다.
1년의 절반을 해외에서 보낸다는 이 사장에게 사장실 벽에 걸린 '수출만이 살 길'이라는 구호는 공허하기만 하다.
고경봉 산업부 벤처중기팀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