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분석 재평가종목] 에스에프에이 .. 올 매출 1507억 전망
입력
수정
공장자동화업체인 에스에프에이는 사업다각화에 성공한 모델로 평가받는다.
삼성테크윈(옛 삼성항공)에서 분사한 에스에프에이는 당초 브라운관 생산에 필요한 공장자동화 장비를 생산했다.
그러나 브라운관의 시장 규모가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과감하게 LCD(액정) 평면유리 등 FPD(평판디스플레이) 장비의 생산을 늘리는 전략을 세웠다.
이 전략은 첨단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대되는 시장상황과 맞물려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
FPD 매출 비중이 지난 99년 3.9%에서 올 상반기 42.9%로 높아진 것.
올해 실적도 비약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동원증권은 에스에프에이의 올해 매출액이 작년보다 52% 늘어난 1천5백7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순익은 61% 늘어난 1백6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코닝정밀유리 삼성코닝 등 주요 매출처의 설비투자가 지속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에스에프에이의 삼성그룹에 대한 매출 비중은 75∼89%에 달한다.
에스에프에이는 삼성테크윈의 FA(공장자동화) 사업부가 종업원지주회사 형태로 분사한 관계로 삼성그룹과의 관계가 밀접하다.
그러나 최대주주인 삼성테크윈(지분율 8.7%)이 지분을 전량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약점으로 지적된다.
보유지분이 매물로 나올 경우 에스에프에이 주가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주주다운 대주주가 사라지면서 주인 없는 회사가 되는 것도 경영 측면에선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삼성테크윈은 당초 13.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 가운데 4.6%를 보호예수기간이 끝난 올 2분기에 처분했었다.
최승일 삼성증권 연구원은 "삼성테크윈은 에스에프에이의 경영에는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은 데다 최근 구주조정 차원에서 비핵심자산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