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결산법인 3분기 실적 분석] 코스닥
입력
수정
코스닥 '빅3 업종'으로 분류되는 인터넷 휴대폰부품 반도체·LCD 관련 업체들이 3분기 실적 성장 상위 리스트에 대거 올랐다.
인터넷 기업 중에서는 NHN 네오위즈 플레너스,휴대폰부품에서는 KH바텍 세코닉스 서울반도체 등도 매출액 상승률 및 영업이익률 상위기업에 들었다.
게임 업체 중에서는 3분기 '턴어라운드(실적 급반전)' 기업으로 꼽히는 액토즈소프트가 영업이익률,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의 상위기업에 진입했다.
◆실적 급증 기업=오성엘에스티 액토즈소프트 네오위즈 등 6개사는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백%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네오위즈는 인터넷 아바타 매출이 늘면서 3분기까지 매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1백45% 많은 5백98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이익은 1백48억원으로 작년에 비해 4백32% 증가했다.
TFT-LCD(초박막 액정표시장치) 부품업체인 오성엘에스티는 3분기 누적 매출이 3백41억원으로 작년보다 1백58% 늘어났다.
순이익(42억원) 증가율도 3백71%에 달했다.
중국 게임시장 진출 성공으로 3분기 실적이 급증한 액토즈소프트는 3분기 누적 매출이 1백8% 늘어난 3백92억원으로 조사됐다.
순이익은 81억원으로 3백45% 많아졌다.
◆자기자본이익률 높고 부채비율 낮은 기업=NHN 백산OPC 동양크레디텍 등은 수익성(높은 ROE)과 안정성(낮은 부채비율)이 모두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NHN은 올들어 3분기까지의 실적을 연간 추정치로 계산한 결과 ROE가 39%에 달했다.
반면 부채비율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백산OPC도 ROE 31%에 부채비율 16.3%,동양크레디텍은 ROE 30%에 부채비율 14.2%로 ROE가 30%를 넘어면서도 부채비율은 20% 이하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KH바텍(ROE 29.9%,부채비율 19.1%) 국순당(ROE 29.6%,부채비율 33.7%) 유일전자(ROE 26.2%,부채비율 31.9%) 등도 수익성과 안정성이 동시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E란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는 가를 보여주는 기업의 이익창출능력 지표다.
◆적자규모가 매출보다 큰 기업=제네틱스 세넥스테크 두리정보통신 인터리츠 타프시스템 등은 3분기까지의 순손실이 매출액보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네틱스는 순이익 32억원 적자에 매출은 5억원에 그쳤다.
세넥크테크는 9억원 매출에 순손실은 46억원에 달했으며 두리정보통신도 매출 7억원에 적자규모는 25억원에 이르고 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