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당할바엔 차라리 명퇴".. 미국 조기퇴직 근로자 급증

"해고를 당할 바에는 차라리 명예퇴직을 하겠다." 최근 들어 미국에서 조기퇴직을 선택하는 근로자들이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2일 보도했다. 가만히 앉아서 해고를 당하기보다는 연금과 건강보험혜택을 챙길 수 있는 명퇴가 유리하다는 것이다. 고용주들도 해고란 무자비한 칼을 휘두르기보다는 조기퇴직 패키지로 종업원들을 설득하는 편이 덜 잔인하다고 여기고 있다. 지난해 10월 페덱스(FedEX)에선 조기퇴직 신청 대상자 1만4천명 중 3천6백명이 회사를 떠났다. 11월엔 2만1천6백명의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퇴사했다. 회사 전체 종업원의 10%에 해당하는 숫자다. 전 페덱스 직원인 리 허치슨씨(51)는 "회사가 퇴직 제안을 공고할 때까지 조기퇴직은 생각지도 않았다"며 "권고안을 읽는 순간 나를 포함,특정그룹을 대상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조기퇴직을 선택하는 근로자는 허치슨씨처럼 50대 초반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예정된 연금을 앞당겨 받거나 1년치,혹은 그 이상의 봉급을 퇴직수당으로 받고 회사를 떠난다. 건강보험을 계속 제공하겠다는 회사의 약속이 가장 매력적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기업고객들에게 조기퇴직 패키지를 설계해주는 한 경영컨설팅사의 데보라 하트 사장은 "과거와 달리 충분한 금액의 퇴직수당만 받을 수 있으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