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문화 수출한다 생각하니 뿌듯".. 이승헌 총재

"요즘 웰빙이 화두로 떠올랐듯이 현대인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건강문제입니다.단학은 홍익인간 같은 우리의 정신문화를 기반으로 허약해진 현대인의 몸과 마음을 추슬러주는 수련법이자 과학이지요." 미국 출국을 앞둔 이승헌 단학·뇌호흡 창시자(54)를 13일 찾았을 때 그는 상상했던 도인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상대를 평안하게 해 주는 초로의 신사였다. 한국뇌과학연구원장,새천년평화재단총재 등 다양한 직함을 갖고 있지만 그는 "한국의 정신문화를 상품으로 만들어 파는 기업인"이란 말도 빼놓지 않았다. 지난 1985년 ㈜단월드(구 단학선원)를 설립한 이 총재는 현재 한국에 3백여곳,미국 등 해외에 80여곳의 단센터를 두고 있다.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과 고 최종현 선경 회장,영화배우 스티븐 시걸,데미 무어,유엔사무차장 모리 스트롱 등 한국에서 1백만여명,해외에서 10만여명의 수련자를 배출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2천4백억원. 이중 7백억원은 미국에서 번 문화 수출기업인이다. 이 총재가 미국에 진출한 건 15년전. "단월드를 세계화하겠다는 꿈을 갖고 있는데 마침 미국에서 기업을 하시던 분이 단학을 체험하고 미국 진출을 적극 권유 후원한게 계기가 됐습니다." 이 총재는 초창기 수련 지도자를 교포사회에 파견했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고민에 빠진 그는 진출 5년 후부터 직접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순회강연과 체험교실을 열었다. "미국의 지식인들은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한 단학과 뇌호흡이 대립과 경쟁에 시달리는 미국을 깨우쳐 줄 수 있는 정신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인도의 요가에 못지않게 단학과 뇌호흡이 인기를 끌면서 지난 2000년 발간된 그의 저서 '힐링 소사이어티'는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1백만부 가까이 팔렸다. 애틀랜타시에서는 정신과 육체의 건강을 깨우쳐 준 그를 기리기 위해 '이승헌의 날'을 제정하기도 했다. 법인세를 매년 30억원 이상 내고 있어 지방정부도 단학센터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 총재는 2010년까지 세계 각국에 3만6천곳의 단센터를 개설,세계인구 1억명이 단학과 뇌호흡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강석진 전 GE코리아 사장을 이달중 '단월드'전문경영인으로 영입한다. "요즘 IT BT 산업이 떠오르고 있지만 결국 휴머니즘과 건강 행복 등을 찾아가며 인간의 가치를 높이는 HT(Human Science Technology)산업으로 귀결될 것입니다.단학과 뇌호흡이 그 중심이지요."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