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9일자) 민노총도 대타협에 나서야 한다
입력
수정
민주노총 제4대 위원장으로 '협상과 교섭' '사회의 변화에 맞는 운동'을 강조한 이수호 전 전교조위원장이 당선된데 대해 정부와 재계 모두 환영을 표명하는 등 모처럼 노·사·정의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는 것으로 보인다.
재계는 온건파로 분류되는 이 위원장의 당선이 "노사 모두에게 이익을 창출하는 합리적인 노사관계를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고,노동부도 "총파업 남발이나 대규모 시위집회 등 장외투쟁을 지양하고 국민의 정서에 부응하는 투쟁방식을 택할 것"이라고 내심 기대하고 있다.
늦었지만 '파업공화국'이라고까지 일컬어졌던 노사관계를 재정립하고 우리 경제를 다시 살릴 수 있는 좋은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사실 민노총은 지난해까지 지나친 강경투쟁만 일삼아 왔다.
두산중공업사태,화물연대,철도파업 등 대화보다는 시도 때도 없이 대형 분규를 주도했다.
결과는 물류대란으로 인한 엄청난 사회적 혼란과 비용을 지불해야 했고 노·사·정 간의 불신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기업들은 중국 동남아 등지로 줄줄이 탈출했고,국민들은 이태백 삼팔선 사오정 오륙도 등의 신조어가 상징하는 실업증후군에 시달려야 했다.
노동계 내부에서조차 우려의 소리가 나왔을 정도이다.
올해는 유난히도 대타협이 강조되는 시기이다.
새해벽두부터 국가의 화두가 되다시피된 '일자리 창출',7월부터 시행되는 종업원 1천명 이상 기업의 주5일 근무제,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마련 등 노사타협 없이는 이뤄지기 힘든 국가적인 난제들이 수두룩히 쌓여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올해를 '노사 화합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밝힌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 노·사·정은 구호보다 실천에 나서야 한다.
우선 지난 5년간 노사정위에 불참했던 민노총은 조건없이 대화의 장으로 돌아와야 한다.
그리고 한시적 무분규선언이나 생산성 증가내에서 인금인상 등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도 탁상공론 행정이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전면에 나서 기업의욕을 북돋우고 경제를 살리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제조업 공동화를 막고 고용을 늘리기 위해 직접 경제현장을 방문,감세와 규제완화 등의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태국 등 후발국들도 정치지도자들의 머리속은 이미 '경제'로 꽉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사측도 무조건적인 해외이전보다는 국내투자를 한번 더 고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노·사·정이 함께 탄 배가 벼랑끝에 몰렸다는 위기의식만이 한국 경제를 다시 살릴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