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률↓ 연체율↑…위기의 중소기업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중소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


내수경기 침체로 공장가동률이 급락하고 있는 데다 원자재난까지 겹치면서 중소업체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26일 금융계와 중소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작년말 3.2%에서 올 2월말에는 3.8%로 급등했다.


중소기업 지원을 전담하는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의 연체율도 이 기간중 1.82%에서 2.78%로 치솟았다.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2.02%에서 2.93%로, 조흥은행의 연체율은 3.49%에서 4.19%로 각각 상승했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1.81%에서 2.19%로, 신한은행은 1.12%에서 1.5%로 각각 올랐다.


은행 관계자는 "내수경기 침체 장기화로 중소기업과 소호(SOHO) 기업들이 속속 무너지고 있다"며 "올해는 가계대출보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가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연체율 상승을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 대규모 상각을 준비 중이다.


상각이란 오래된 연체 채권을 아예 회계장부에서 손실로 처리함으로써 연체율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것을 뜻한다.


우리은행은 이달 중 중소기업 연체 채권을 2천억원 이상 상각 처리키로 했다.
하나ㆍ국민ㆍ조흥ㆍ기업은행 등도 각각 2백억∼1천억원의 상각 처리를 통해 연체율을 낮출 방침이다.


하지만 대규모 상각 처리에도 불구, 실질적인 연체율 상승세를 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게 은행권의 관측이다.


한편 중소기업 가동률은 5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기협중앙회가 25일 전국 1천5백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월 중 평균가동률'을 조사한 결과 67.1%로 1월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작년 9월의 66.6%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중소기업 가동률은 13개월 연속 60%대에 머무르고 있다.


기협은 원유 철강 등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급 차질 등의 영향으로 조업을 중단하는 기업들이 생겨나면서 가동률이 더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기협중앙회 한기윤 상무는 "자동차 화학 등 극소수 업종을 제외한 대다수 중소기업의 가동률이 70%를 밑돌고 있다"며 "소비 진작과 투자 활성화 등 중소기업 회생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계주ㆍ최철규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