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환경난민

중국은 사막과의 전쟁을 치르면서 힘겨운 모습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크기의 두배쯤 되는 국토가 매년 사막으로 변하면서 이제는 베이징 서북쪽 허베이성 70㎞지점까지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곳곳에 모래언덕이 만들어지는가 하면 농경지가 모래로 덮이고 있다. 사막화에 대한 위기감은 중국의 심장부 베이징이 20∼30년내 사막으로 변할 것이라는 환경전문가들의 보고서가 잇따라 나오면서 더욱 팽배지는 것 같다. 중국대륙의 사막화가 야기하는 더 큰 문제는 해마다 수백만명에 이르는 '환경난민'이다. 이들이 삶의 터전을 찾아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경제·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서다. 과잉 경작과 목축, 그리고 산림벌채 등으로 발생하는 사막화가 이들 난민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이들이 또 옮겨가면서 사막화를 만드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환경파괴에 따른 사막화는 비단 중국만의 고민은 아니다. 지구상의 건조지대는 육지면적의 30% 정도인데 이중 70%가 이미 사막화로 황폐화됐으며 사막화의 영향권에 든 나라만도 1백10개국이나 된다고 한다. 특히 아시아지역의 사막화가 심각한 지경이다. 며칠전 서귀포에서 열린 유엔환경계획(UNEP)회의에서는 아시아대륙의 사막화가 37%로 아프리카의 32%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돼 이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아프리카처럼 사막화로 비롯된 환경난민이 국제문제화될 개연성도 높아지고 있다. 환경난민은 육지뿐만 아니라 일부 섬국가에서도 당면한 현안으로 대두돼 있다.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환경파괴로 해수면이 상승되면서 남태평양의 투발로 주민 1만여명은 지난해 뉴질랜드로 대거 이주했다. 파푸아뉴기니의 카르테트나 인도양의 몰디브 등 국가들도 난민신청을 내고 다른 나라로 이주를 준비중이라고 한다. 세계 2천개의 섬이 수장될 위기라고 하니 그 심각성을 짐작할 만하다. 사막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환경난민이 벌써 전쟁난민 수를 넘었다는 게 유엔의 통계다. 환경파괴가 초래한 지구의 위기는 환경을 되돌려 놓는 일이다. 환경보전의 지름길이 나무를 심어 산림을 만드는 일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박영배 논설위원 young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