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구조조정기업 매각때 투기펀드 배제] 쌍용車 매각 실패 초래
입력
수정
채권단이 주인인 기업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인수자의 자질을 따져봐야 한다는 교훈은 쌍용차 매각 실패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지난해 11월 시작한 쌍용차 매각이 무산된 것은 채권단이 가격 등 인수조건에 지나치게 집착해 무분별하게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전후방 효과 및 고용 효과 등을 감안해 쌍용차를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로 육성할 수 있는 곳으로 매각의 방향을 잡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년 11월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 결과 응찰한 업체는 GM 르노 상하이자동차 란싱그룹 등 8개 업체.
그러나 채권단은 자동차업체를 제외한 채 란싱이라는 '무경험자'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당시 국내 자동차업계는 채권단이 란싱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할 때부터 의아하다는 반응이었다.
일각에서는 란싱이 6천억∼7천억원이 넘는 인수대금을 마련하기도 어려울 것으로 봤다.
채권단은 란싱이 가격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의욕적인 투자계획을 밝혔기 때문에 최상의 선택이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한 자동차업계의 현실에 비춰, 경영능력을 무게 있게 고려했어야 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사실 란싱그룹은 자국 정부의 투자 허가를 얻어내는 과정에서도 혼란을 빚을 정도로 자동차 생산 분야에서는 경쟁력을 전혀 검증받지 못했다.
이에 반해 대우자동차를 GM에 판 것은 비록 헐값 매각 시비는 일었지만 회사를 단시일 내에 정상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최근 대우상용차를 무난하게 인도 타타그룹에 매각한 것도 타타그룹이 트럭생산 분야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는게 업계의 평가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