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운영비 급증 … 은행들 반발
입력
수정
전국 어디에서나 단일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전국 대표전화번호'의 요금체계가 오는 6월부터 전면 개편됨에 따라 은행 등 대규모 콜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금융회사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는 현재 지역에 관계없이 3분당 50원으로 단일화돼 있는 전국대표전화번호 요금체계를 오는 6월부터 시내(3분당 39원)와 시외(3분당 2백61원)로 나눠 분리 징수할 예정이다.
정부는 시외에서 대표전화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부담이 늘어난 만큼을 은행 등 대표전화번호를 운영하는 기업들이 부담토록 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추가비용 부담이 은행권 전체로 연간 4백89억여원에 달하는데다 △이미 콜센터를 지방으로 이전한 은행의 경우 이용 고객이 많은 서울지역으로 다시 이전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며 △콜센터를 한 군데로 집중화한 은행들도 지역별로 다시 분산해야 하는 등 상당한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은행들은 이런 현상이 발생할 경우 정부의 지방화·지역경제활성화정책에도 어긋난다며 '정액형 상품' 폐지를 유보해 달라고 정부통신부와 공정거래위원회,KT등 4대 통신사업자에게 건의키로 했다.
은행들은 전화요금의 지역별 분리징수가 시행될 경우 은행 전체적으로 연간 4백89억여원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은행별로는 농협이 2백52억원으로 가장 많다.
대전 등 지방으로 콜센터를 이전한 국민은행과 하나은행도 각각 1백24억원과 38억원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또 기업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30억원과 24억원을 부담해야 하는 등 이용고객이 많은 은행일수록 부담액이 늘어난다고 밝혔다.
은행들은 이같은 추가 부담액의 77%인 3백77억여원이 통신사업자의 수입으로 들어가고 고객부담은 10억여원 줄어드는 데 그쳐 일반 소비자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인다는 요금체계 개편 취지가 무색하다고 반발했다.
아울러 통신 사업자들이 '정액형 상품'을 일방적으로 폐지한 것은 불공정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고 변호사의 자문을 거쳐 공정거래위원회에 시정을 요청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전국 대표전화번호' 서비스는 기업의 대표번호를 단일 번호로 통합한 뒤 발신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전화로 연결시켜 주는 지능형 서비스를 말한다.
시장 지배적인 사업자인 KT(1588)를 비롯해 하나로통신(1566) 데이콤(1544) 온세통신(1688)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080무료전화'와는 달리 유료전화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은행뿐만 아니라 보험사 카드사 등 대규모 콜센터를 운용 중인 다른 금융회사들의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