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후 부동산시장] <中> 주택시장.. 안정대책 '탄력' 받을듯
입력
수정
여당의 원내 과반의석 차지로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대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특히 시행이 임박한 주택거래신고제를 비롯 종합부동산세제 도입,1가구2주택자 탄력세 적용 등 시장안정을 핵심으로 한 대책추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조만간 강남권 주요지역이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첫 지정될 경우 최근 '반짝상승세'를 타고 있는 이 지역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같은 안정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지역 입주물량이 감소,내수침체에 따른 경기부양 가능성때문에 향후 주택가격은 단기간 보합세를 유지하다 재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단기간 집값 안정될 듯
서울 수도권 인기지역에 대한 주택거래신고지역 지정이 늘어날 경우 아파트시장은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따라서 정부 여당은 신규 부동산규제대책을 내놓기보다 이미 내놓은 대책을 시행에 옮기는 선에서 주택정책을 운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시장안정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쓸 시기도 아니고 쓸 정책도 없다"며 "다만 이미 발표된 정책의 추진력이 강화됐기 때문에 '묻지마 투자'는 줄고,강남권의 아파트값도 단기적으로는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위원도 정부가 무리한 부동산안정대책을 새롭게 내놓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박 위원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인 지난 2년과 달리 올 들어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아파트값은 지극히 정상적"이라고 설명했다.
◆규제강화로 공급감소 우려
대다수 전문가들은 정부의 지속적인 가격안정대책에도 불구하고 아파트가격이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선행지수인 건축허가신청이 감소추세이고 서울지역 입주물량이 올해를 정점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울은 작년 7만6천가구에 달하던 입주물량이 올해는 5만4천가구로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엔 4만6천가구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서울은 향후 2∼3년 내 공급감소에 따른 가격 재반등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하반기부터 건설경기 침체로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주택동행지수인 입주물량은 올해까지는 넉넉한 편이지만 건축허가 등 주선행지수가 악화추세여서 2∼3년 뒤 공급감소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무리한 아파트 투자는 위험
전문가들 대부분이 당분간 투자목적의 주택구입은 피하라고 권한다.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의지가 워낙 강경한데다 내년시행예정인 종합부동산세와 1가구2주택자에 대한 탄력세 적용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김희선 전무는 "잠실재건축 아파트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2억원 미만의 투자자들 움직임이 일부에서 나오고 있지만, 이는 정부가 예고한 아파트에 대한 다양한 규제를 모르는 데서 비롯한 착시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10·29조치 이후 지금까지 심리적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면,이달부터는 주택거래신고제 시행으로 실제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짙다"며 "무리한 대출을 통한 주택투자는 당분간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LG경제연구소 김성식 부연구위원도 단순 투자목적의 주택구입에는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