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6일자) 고속철 부실 막을 대책 서둘러야

고속철도가 개통된지 한달이 다돼가는데도 아직 승객탑승률이 50%대에 머무르는 등 기대에 훨씬 못미치는 성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횟수가 당초 계획의 3분의 2 수준에 그치고 수송수입도 목표의 절반 이하에 불과해 무려 10조7천억원에 이르는 고속철 부채상환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엄청난 돈을 쏟아 부은 고속철이 부실화됨으로써 앞으로 국가경제에 큰 부담을 주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게 사실이다. 꿈의 속도혁명으로 국민생활 전반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던 고속철이 이처럼 이용객들로부터 외면당하게 된 것은 초기의 불안정한 열차운행과 불편 탓이 크다고 본다. 고장으로 인한 운행지연이 잦았고 역방향 좌석배열 등의 문제가 노출됨으로써 안전과 편리성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됐다. 연계 교통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고속철 정차역 이외 지역 주민들의 경우 오히려 철도 이용이 더 어려워진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철도청은 개통 초기의 낮은 탑승률이나 잦은 고장이 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고 주장하지만 그렇게만 볼 사안이 아니다. 고장 등 기술적인 문제가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는 하나 그동안 하루 1건꼴로 크고 작은 장애가 발생,정상운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철로변 안전이나, 모두 83개나 있는 터널내 소음문제 등은 단기간내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일반열차 단축운행, 역배열 좌석,좁은 좌석 간격 등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은 고속철을 기피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고속철을 이용하기 위해 열차나 버스 등을 여러번 바꿔 타야하고 도중에 한참 기다려야 한다거나,역방향으로 설치된 좁은 좌석에서 불안하고 불편한 여행을 해야한다면 고속철은 국민들로부터 여전히 외면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해 고속철이 제 기능을 찾도록 함으로써 부실화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처음 계획대로 운영되더라도 고속철을 건설하느라 진 빚을 오는 2025년에 가서야 겨우 다 갚을 수 있는 상황이다. 고속철 운영이 하루빨리 정상화되지 못하고 부실이 쌓이게 되면 결국 그 부담은 국민에게 돌아올 수밖에 없다. '빠르기만 하고 불편하다'는 국민들의 고속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고 승객수요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