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코너] '빵보단 빵공장을'

북한의 최대 교역창구인 중국의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중조우의교(中朝友誼橋). 북한 용천역 대폭발 참사가 발생한 지 9일째인 30일에도 피해주민을 위한 구호물자 행렬은 계속됐다. 단둥 세관을 통과하는 트럭에는 물과 라면 의료장비 등과 같은 구호물품에 이어 펌프 슬레이트 철근 등 복구용 건축자재가 눈에 많이 띄기 시작했다. 용천 참사 피해복구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실제 북한 평안북도는 잿더미가 된 용천읍을 '완전히 새롭게 꾸린다'는 목표로 복구 공사에 본격 나섰다고 조선 중앙방송이 이날 보도하기도 했다. "심하게 파괴된 자리에 현대적인 살림 집과 공공건물을 세우기 위한 사업을 구체적으로 짜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복구작업이 용천에 국한돼선 안된다는 목소리들이 적지 않다. 북한의 다른 지역 주민들 역시 용천의 이재민처럼 고달픈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게 탈북자들의 증언이다. '폐쇄'체제가 만들어낸 이재민인 것이다. 이번 참사피해에 대한 복구가 북한 전체를 개혁하는 시발점이 돼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 27일에 이어 29일에도 단둥에서 트럭편으로 물과 빵 등을 북측에 보낸 대북 컨설팅업체 포원비즈의 최재혁 고문은 "한반도가 한마음이 된 북한 참사 피해자 돕기가 북한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지원으로 승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당장 먹을 빵을 지원해야겠지만 북한에 제빵 공장을 짓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식음료 의류 건자재 등 내수형 업종을 키울 경우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줄이고 외화반출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지금 중국에 '올인'하는 대중국 투자러시를 이루고 있다.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경우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경제논리를 차치하더라도 용천역 참사가 한국의 대중국 투자 물길을 북으로도 분산시키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북한도 더욱 열린 마음으로 개방하는 자세를 취할 때 국제사회까지 적극 나선 대북 지원을 개혁 가속화의 소중한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단둥=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