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社 감사자리는 금감원 몫?
입력
수정
올들어 새로 선임된 금융회사 감사 자리를 금융감독원 출신들이 거의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금융계에선 "감독업무의 공정성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생명은 3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어 강승추 금감원 인력개발실 교수를 신임 감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달 말 주총에서 삼성화재는 김광진 전 금감원 인력개발실 교수를, SK생명은 김종옥 전 금감원 검사총괄국 감독관을 각각 신임 감사로 선임했다.
또 연초 알리안츠생명은 금감원 런던사무소장을 지낸 최재식씨를 감사로 영입했다.
은행권에선 금감원 검사총괄국 업무담당 부원장보를 역임한 이순철씨가 지난 3월 하나은행 감사 자리를 차지했으며 금감위 과장을 거쳐 코스닥증권시장 전무를 지낸 박환균씨는 우리은행 감사에 선임됐다.
또 신한은행과 조흥은행도 조재호 전 금감원 은행검사 2국장, 유지홍 전 금감원 국장을 각각 신임 감사 자리에 앉혔다.
지난 3월 새로 선임된 부산 경남 광주은행 등 3개 지방은행의 감사도 모두 금감원에서 근무했던 인사들이다.
박창규 부산은행 감사는 금감원 춘천출장소장, 김성춘 경남은행 감사는 비은행 검사국 부국장, 김제성 광주은행 감사는 민원상담 팀장을 지냈다.
이처럼 금감원 출신들이 금융회사 감사 자리를 독식하는데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 쪽에서 먼저 감사에 적합한 인물을 보내줄 것을 요청해 온다"며 "금감원 간부들의 전문성과 자질을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감원의 감독권ㆍ검사권 행사가 규정에 따라 투명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금감원 출신 감사가 있다고 해서 (해당 금융회사가) 특별한 대접을 받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한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감독당국 출신 감사들이 금융회사의 편의적인 이익이나 대외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로비스트로 활용될 소지가 다분하다"며 "감사 선임 절차나 자격요건 등에 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도 "감독과 검사를 받는 입장에선 아무래도 감독당국과 얘기가 통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이성태ㆍ최철규ㆍ송종현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