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일자) 혁신 클러스터 난립이 걱정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산업자원부가 산업단지의 혁신 클러스터화 추진방안을 내놨다. 혁신 클러스터는 생산과 연구,그리고 각종 기업지원 서비스 등이 어우러지고,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서로 연계되는 거점을 의미하며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제시한 역점사업의 하나다. 이번에 선정된 혁신 클러스터에 대해 정부가 내년부터 매년 1천억원 규모의 재정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하니 지역적으로 관심이 높을 것은 짐작하고도 남을 일이다. 정부가 혁신 클러스터에 눈을 돌린 것은 평가할 만하다. 또 혁신 클러스터를 새로이 조성하기보다는 기존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혁신 클러스터화를 시도하겠다는 현실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것도 잘한 일이다. 미국의 실리콘 밸리가 그러하듯 대부분의 선진국들에는 대표적인 혁신 클러스터들이 있고,바로 그곳에서 왕성한 기술혁신과 새로운 성장 동력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왜 혁신 클러스터인가에 대한 답은 쉽게 찾을 수 있다. 문제는 혁신 클러스터를 추진하기는 쉬워도 성공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그것은 각국 정부가 추진하는 혁신 클러스터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실제로 성공한 모델로 꼽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런 측면에서 정부가 유의해야 할 점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혁신 클러스터에 대한 버블이 조장돼선 안된다. 입지조건도 맞지 않는데 모든 지자체들이 혁신 클러스터를 하겠다고 나서는 식의 난립은 곤란하다는 얘기다. 정부는 이번에 구미 창원 울산 반월시화 광주 원주 등 6곳을 시범단지로 선정했지만 기존에 조성돼 있는 대덕(연구개발 클러스터) 오송(바이오 클러스터)을 합치면 사실상 8곳이다. 여기에 군장 등 신규 단지는 단지 활성화 계획과 함께 혁신 클러스터에 입각한 시책을 동시에 추진할 방침이라고 하니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도 크다. 지금은 전국 곳곳의 수많은 클러스터가 필요한게 아니라 제대로 된 혁신 클러스터 하나가 아쉬운 상황이란 점을 모두가 망각해선 안된다. 중앙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은 좋지만 그에 수반될 천편일률적 지침이나 세세한 간섭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그럴 경우 각 지역 혁신 클러스터는 아무런 차별성도 없이 모두가 비슷한 얼굴이 되기 십상이다. 혁신 클러스터는 지역의 산업수요와 대학 등 지역자원과의 연계성이 중요한 성공의 전제조건이다. 그것은 성공한 혁신 클러스터의 대부분이 지역 자생적이라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이것 역시 정부가 유념해야 할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