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은행 파업 5일째] 기업들 거래계좌 이전 움직임
입력
수정
한미은행은 29일에도 노사 모두 별다른 대화의 노력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파업 닷새째를 보냈다.
이에 따라 거래 고객, 특히 기업들은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계좌 이전 등 대책을 검토하는 모습이다.
전자점화기를 개발하는 서울 가좌동 소재 A업체 관계자는 "월말을 맞아 어음결제를 해야 하는데, 인근 거점점포는 차로 30∼40분 거리에 있다"며 "당장 자금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수출대금 송부 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아예 거래 은행을 옮기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설명했다.
B건설업체 관계자도 "조만간 우리 회사가 보증을 선 중도금대출 만기가 돌아올 예정이어서 내부적으로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검토 중"이라며 "2주 정도 시간 여유가 있어 당장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진 않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C기업 관계자는 "기존에 이용하던 창구가 아닌 용인이나 수원 소재 거점점포를 이용해야 하는데, 개인영업 점포여서 외환업무 등 기업과 관련된 업무를 볼 때 불편이 많다"고 말했다.
이같은 기업들의 애로와 관련, 한미은행측은 전국 56개 거점점포에서 근무하는 기업금융 전문인력을 한 군데 모아 기업 관련 금융업무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거점점포를 몇 군데 만드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한편 28일 하룻동안 한미은행에서 1조3백2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간데 대해 금융계 관계자는 "월말이 겹쳐 예금이탈이 예상보다 많이 이뤄진 것 같다"며 "과거 조흥은행 등의 사례에 비춰 파업사태가 2~3일 더 지속되면 예금인출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한미은행 내에서는 "30일이 이번 파업사태의 1차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노사 양측이 30일을 넘기는 '모험'을 감행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