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포인트] 경기보다 기업실적 주목
입력
수정
수출호조가 투자·소비 증가로 이어져 2분기 이후 국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낙관했던 전문가의 생각은 빗나갔다.
수출호황은 대규모 설비투자가 별로 필요하지 않거나,아니면 기존 설비를 가동해도 충분한 상태에서 이뤄지고 있다.
더구나 수출을 잘 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해외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민간소비는 가계부채가 눈에 띄게 감소하지 않는 한 의미 있는 반등을 기대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해 있다.
체감 내수경기의 회복은 연말이 되어서야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내수불황 하에서 주가가 오를 수 있을까.
우선 시장참여자들이 내수회복 기대감에 들떠 있지 않았었다는 점은 다행이다.
내수 부진은 잘 알려진 악재일 따름이다.
그리고 지금의 주가상승 기대감은 정확히 말하면 경기회복이 아니라 기업실적의 호조세 지속과 변동성 축소에 근거하고 있다.
기업 실적은 국민경제가 창출한 전체 부가가치 중 한 요소일 따름이다.
기업실적이 좋아도 다른 부가가치 요소,가령 임금과 이자소득이 낮으면 경기가 나쁠 수 있다.
견조한 기업 실적은 당분간 내수기업이 아니라 수출기업에 의존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