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교통카드서비스 이통사 희비

서울시 신교통시스템이 도입되면서 휴대폰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해온 이동통신사들 사이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SK텔레콤은 휴대폰 교통카드 서비스를 당분간 제공하기 어렵게 돼 울상인 반면 KTF와 LG텔레콤은 신교통시스템에서도 휴대폰 교통카드 서비스가 큰 차질 없이 제공되고 있어 웃고 있다.2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모네타 교통카드 휴대폰 사용자들은 모네타 기술이 신교통시스템과 호환되지 않아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모네타 교통카드 서비스는 서울시의 승인을 받지 못해 사실상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다.

이동통신 3사 중 SK텔레콤과 KTF는 휴대폰에 내장된 칩에 교통카드 기능을 담아 휴대폰으로 시내버스나 지하철 요금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고,LG텔레콤은 교통카드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를 팔고 있다.SK텔레콤은 그동안 서울시의 승인을 받지 않고 임의로 시스템을 개발,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서울시가 최근 신교통카드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타입A'라는 새 표준을 채택했으나 SK텔레콤은 아직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

한국스마트카드 관계자는 "서울시와 정보통신부가 제시한 교통카드 표준안인 '타입A'를 SK텔레콤이 따르지 않고 있다"며 "교통카드 운영협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으면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교통카드 운영협의회는 운송을 맡고 있는 서울시내버스운송조합 철도청 지하철공사 등이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 산하 협의회다.

협의회 관계자는 "교통카드 운영협의회가 새로 구성될 예정이기 때문에 SK텔레콤은 당분간 승인을 받고 싶어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 고위 관계자는 그러나 "모네타 교통카드 서비스가 제대로 안되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라며 "조만간 해결될 것이라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KTF는 SK텔레콤과 같은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2년 전에 서울시로부터 이 방식에 대해 공식 승인을 받은 상태다.

따라서 앞으로 새로 가입하는 고객에게 '타입A' 방식의 교통카드를 발급해주는 전제하에 기존 방식의 서비스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KTF의 경우 2일 일부 지역에서 프로그램상의 오류로 교통카드 서비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나 3일부터는 정상화될 것이라고 한국스마트카드측은 설명했다.KTF는 기존의 후불제 교통카드 방식 외에 무선인터넷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선불카드 방식의 서비스와 T머니와 연계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휴대폰 교통카드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