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성장지대] 부산ㆍ광양항 자유무역지역 : 日 물류기업 유치
입력
수정
최근 외국기업이 부산항과 광양항만의 물류기지화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때마침 국내 기업들도 우리와 가까운 일본의 물류기업 유치을 위한 마케팅에 뛰어들고 있어 민ㆍ관의 해외기업 유치가 활발해질 경우 부산, 광양항의 동북아 허브화는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정부는 우선 지정학적으로 부산, 광양항과 경쟁이 되는 중국 항만보다 우위에 있는 물류운송분야부터 특화시킨다는 전략 아래 1차적으로 일본 물류기업부터 끌어 들인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이제 국내 항만의 국제화 비즈니스가 본격 시작되고 있다.
정부가 동북아물류중심 실현의 한 방안으로 부산ㆍ광양항 배후부지 내 일본기업 유치 전략에 본격 나섰다.장승우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9일 일본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열린 '부산항, 광양항 자유무역지역 투자설명회'에 참석, "이들 항만에 입주하는 일본 기업에 대해서는 법인세 및 관세 면제, 저렴한 임대료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고 밝히고 일본 물류기업의 적극적인 입주를 권유했다.
◆ 왜 일본인가 =정부가 일본 기업을 동북아물류중심 계획 실현을 위한 첫 번째 공략 대상으로 삼은 데는 이유가 있다.
일본은 높은 내륙 운송비, 창고비, 인건비로 인해 물류비용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최근 중국 등에 물류 아웃소싱 작업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또 일본은 대형 항만으로 물량이 집중돼 있어 중국 등 아시아권 국가에서 화물을 들여올 때 오사카, 고베 등 5대항을 통해 하역작업을 벌인 후 또다시 육상 운송과정을 거쳐 전국으로 화물을 수송하기 때문에 5대항구 연안 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물류비가 높다.
해양수산부의 분석에 의하면 일본 기업이 한국을 경유해 상품이나 원자재를 배송할 경우 해상운임은 50%가량 증가하지만 배후부지의 저렴한 사용료(부산신항의 경우 연간 4백80원/㎡)로 보관료가 20% 가까이 줄고 부산ㆍ광양항에서 일본 지역항으로 직접 물자를 운송함으로써 일본 내 육상 배송료도 4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종합적으로 12.4% 가량의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 항만물류가 바뀐다 =부산항 자유무역지대안에 있는 감천항 배후단지를 시작으로 일본 기업들이 들어오게 되면 국내 항만물류 산업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기존 항만의 환적물류는 물건을 배에서 하역해 다른 배로 옮겨 싣는 단순 작업이었다.
하지만 부산항과 광양항이 허브항만이 되면 싱가포르나 로테르담처럼 컨테이너를 해체해 상품이나 원료를 종류별로 재분류하는 CFS작업, 운송된 부품을 초기 가공하는 활동 등을 수행한다.
해양부 동북아물류중심기획단 연영진 과장은 "환적서비스를 준비하는 물류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특히 일본 대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배후단지 입주를 노리는 업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 물류서비스 인프라 구축에 주력을 =현재 우리나라의 물류거점화 전략은 국내 항만 배후단지의 임대료를 낮춰 주변국가의 환적화물을 유치하는데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는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승부수'는 되지 못한다.
배후단지 임대료 인하와 같은 조건은 중국 등도 얼마든지 따라올 수 있는 전략이기 때문이다.해운물류ㆍ항만 연구센터의 백종실 연구원은 "소수의 국적선사,항공사, 3자물류를 전담할 수 있는 종합물류업체를 선정해 이 업체들이 제대로 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자원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때마침 국내 기업들도 우리와 가까운 일본의 물류기업 유치을 위한 마케팅에 뛰어들고 있어 민ㆍ관의 해외기업 유치가 활발해질 경우 부산, 광양항의 동북아 허브화는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정부는 우선 지정학적으로 부산, 광양항과 경쟁이 되는 중국 항만보다 우위에 있는 물류운송분야부터 특화시킨다는 전략 아래 1차적으로 일본 물류기업부터 끌어 들인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이제 국내 항만의 국제화 비즈니스가 본격 시작되고 있다.
정부가 동북아물류중심 실현의 한 방안으로 부산ㆍ광양항 배후부지 내 일본기업 유치 전략에 본격 나섰다.장승우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9일 일본 도쿄 뉴오타니 호텔에서 열린 '부산항, 광양항 자유무역지역 투자설명회'에 참석, "이들 항만에 입주하는 일본 기업에 대해서는 법인세 및 관세 면제, 저렴한 임대료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고 밝히고 일본 물류기업의 적극적인 입주를 권유했다.
◆ 왜 일본인가 =정부가 일본 기업을 동북아물류중심 계획 실현을 위한 첫 번째 공략 대상으로 삼은 데는 이유가 있다.
일본은 높은 내륙 운송비, 창고비, 인건비로 인해 물류비용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최근 중국 등에 물류 아웃소싱 작업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또 일본은 대형 항만으로 물량이 집중돼 있어 중국 등 아시아권 국가에서 화물을 들여올 때 오사카, 고베 등 5대항을 통해 하역작업을 벌인 후 또다시 육상 운송과정을 거쳐 전국으로 화물을 수송하기 때문에 5대항구 연안 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물류비가 높다.
해양수산부의 분석에 의하면 일본 기업이 한국을 경유해 상품이나 원자재를 배송할 경우 해상운임은 50%가량 증가하지만 배후부지의 저렴한 사용료(부산신항의 경우 연간 4백80원/㎡)로 보관료가 20% 가까이 줄고 부산ㆍ광양항에서 일본 지역항으로 직접 물자를 운송함으로써 일본 내 육상 배송료도 4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종합적으로 12.4% 가량의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 항만물류가 바뀐다 =부산항 자유무역지대안에 있는 감천항 배후단지를 시작으로 일본 기업들이 들어오게 되면 국내 항만물류 산업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기존 항만의 환적물류는 물건을 배에서 하역해 다른 배로 옮겨 싣는 단순 작업이었다.
하지만 부산항과 광양항이 허브항만이 되면 싱가포르나 로테르담처럼 컨테이너를 해체해 상품이나 원료를 종류별로 재분류하는 CFS작업, 운송된 부품을 초기 가공하는 활동 등을 수행한다.
해양부 동북아물류중심기획단 연영진 과장은 "환적서비스를 준비하는 물류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특히 일본 대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배후단지 입주를 노리는 업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 물류서비스 인프라 구축에 주력을 =현재 우리나라의 물류거점화 전략은 국내 항만 배후단지의 임대료를 낮춰 주변국가의 환적화물을 유치하는데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는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승부수'는 되지 못한다.
배후단지 임대료 인하와 같은 조건은 중국 등도 얼마든지 따라올 수 있는 전략이기 때문이다.해운물류ㆍ항만 연구센터의 백종실 연구원은 "소수의 국적선사,항공사, 3자물류를 전담할 수 있는 종합물류업체를 선정해 이 업체들이 제대로 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자원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