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단체교섭 불응 사학법인에 '부당노동행위' 판결
입력
수정
교직원 노동조합이 지속적으로 단체교섭을 요구했는데도 사립학교법인 측이 교섭단 구성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이에 응하지 않았다면 부당 노동행위에 해당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이번 판결에 따라 그동안 공립학교에 국한됐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교총 등 교원노조의 영향력 행사범위가 사립학교로까지 확대될 전망이다.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백춘기 부장판사)는 28일 대전지역 사립학교법인 19곳이 "단체교섭에 응하지 않은 것을 부당 노동행위로 본 것은 부당하다"며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
전교조는 지난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이들 학교법인을 상대로 5차례에 걸쳐 단체교섭을 요구했다.
그러나 학교 측은 교섭단장 선임과 교섭단 구성이 어렵다며 이를 거부했고, 이에 전교조는 중노위에 구제 신청을 내 부당 노동행위 판정을 받았다.이번 판결에 대해 전교조측은 "지난 99년 교원노조가 허용된 이래 지금까지 사립학교에서의 단체교섭은 단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못했다"며 "그동안 사립학교 교원들의 최대 불만요인이었던 열악한 근무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강동균ㆍ송형석 기자 kdg@hankyung.com
이번 판결에 따라 그동안 공립학교에 국한됐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교총 등 교원노조의 영향력 행사범위가 사립학교로까지 확대될 전망이다.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백춘기 부장판사)는 28일 대전지역 사립학교법인 19곳이 "단체교섭에 응하지 않은 것을 부당 노동행위로 본 것은 부당하다"며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
전교조는 지난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이들 학교법인을 상대로 5차례에 걸쳐 단체교섭을 요구했다.
그러나 학교 측은 교섭단장 선임과 교섭단 구성이 어렵다며 이를 거부했고, 이에 전교조는 중노위에 구제 신청을 내 부당 노동행위 판정을 받았다.이번 판결에 대해 전교조측은 "지난 99년 교원노조가 허용된 이래 지금까지 사립학교에서의 단체교섭은 단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못했다"며 "그동안 사립학교 교원들의 최대 불만요인이었던 열악한 근무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강동균ㆍ송형석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