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코너] '고구려사 왜곡' 대응책
입력
수정
고구려사 왜곡이 한국과 중국간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중국은 정치적 목적으로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에 끌어다 붙이려 하고 있으며, 한국은 '고구려를 중국에 빼앗긴다'는 위기감으로 대응하고 있다.이 문제는 양국 역사관의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게 기자의 생각이다.
중국은 '땅의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지금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내에 존재했던 왕조는 모두 중국역사가 된다.고구려도 예외는 아니다.
반면 우리는 '민족 역사'를 중시한다.
어느 지역에 있건 한(韓)민족이라면 두말할 것도 없이 우리의 역사에 속하는 것이다.고구려는 당연히 한국역사다.
'땅의 역사'와 '민족 역사'가 지금 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충돌은 시기상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일어날 일이었다.중국은 '땅의 역사'를 고집하고, 확장해야 하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땅의 역사를 강조하는 것은 소수민족정책과 관련이 있다.
55개 소수민족을 한(漢)족 중심체제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소수민족 역사를 중국사에 편입해야 한다.
한때 중국 동북(東北)지역을 다스렸던 고구려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1차적인 이유는 2백만명에 달하는 조선족을 겨냥한 것이다.
그러기에 고구려사 왜곡은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이라는 큰 틀에서 바라봐야 한다.
이 문제는 티베트 신장 대만 등의 독립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
우리가 뭐라고 하든 중국은 고구려사 편입작업(동북공정)을 밀고 나갈 것이다.
'땅의 역사'의 약점을 알아야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다.
땅의 역사는 '역사 주권'을 무시한다.
고구려가 현재의 중국땅 위에 존재했지만, 그 역사의 주인은 분명 한국이다.
중국은 지금 그것을 의도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학문적으로 고증하고 따져야 한다.
땅의 역사에는 정치적 내부 모순도 있다.
중국이 고구려를 자기 역사에 끌어다 붙이면서 어떻게 우리에게 '하나의 중국'(대만 불인정)을 인정해줄 것을 요구할 수 있겠는가.바로 이 점에 우리의 정치 외교적 대응해법이 담겨 있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
중국은 정치적 목적으로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에 끌어다 붙이려 하고 있으며, 한국은 '고구려를 중국에 빼앗긴다'는 위기감으로 대응하고 있다.이 문제는 양국 역사관의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게 기자의 생각이다.
중국은 '땅의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지금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내에 존재했던 왕조는 모두 중국역사가 된다.고구려도 예외는 아니다.
반면 우리는 '민족 역사'를 중시한다.
어느 지역에 있건 한(韓)민족이라면 두말할 것도 없이 우리의 역사에 속하는 것이다.고구려는 당연히 한국역사다.
'땅의 역사'와 '민족 역사'가 지금 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충돌은 시기상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일어날 일이었다.중국은 '땅의 역사'를 고집하고, 확장해야 하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땅의 역사를 강조하는 것은 소수민족정책과 관련이 있다.
55개 소수민족을 한(漢)족 중심체제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소수민족 역사를 중국사에 편입해야 한다.
한때 중국 동북(東北)지역을 다스렸던 고구려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1차적인 이유는 2백만명에 달하는 조선족을 겨냥한 것이다.
그러기에 고구려사 왜곡은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이라는 큰 틀에서 바라봐야 한다.
이 문제는 티베트 신장 대만 등의 독립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
우리가 뭐라고 하든 중국은 고구려사 편입작업(동북공정)을 밀고 나갈 것이다.
'땅의 역사'의 약점을 알아야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다.
땅의 역사는 '역사 주권'을 무시한다.
고구려가 현재의 중국땅 위에 존재했지만, 그 역사의 주인은 분명 한국이다.
중국은 지금 그것을 의도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학문적으로 고증하고 따져야 한다.
땅의 역사에는 정치적 내부 모순도 있다.
중국이 고구려를 자기 역사에 끌어다 붙이면서 어떻게 우리에게 '하나의 중국'(대만 불인정)을 인정해줄 것을 요구할 수 있겠는가.바로 이 점에 우리의 정치 외교적 대응해법이 담겨 있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