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정부, 해외홍보 딜레마
입력
수정
사례1.최근 핵관련 '학문적 실험'에 관한 외신보도가 심상찮다.
AP 로이터 워싱턴포스트 뉴욕타임스 요미우리 등 세계 유수의 통신과 신문들은 연일 한국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미소량의 우라늄라분리는 4년전에,플루토늄 추출은 20년도 더 된 일이지만 외신들은 마치 한국이 금방이라도 핵무기를 만들 것처럼 경쟁적으로 의혹을 부풀린다.
우리 정부의 설명과 해명에는 아예 귀를 기울이지 않는 모습이다.
"한국은 전혀 문제가 없다"는 미국정부의 '공식'입장도 묵살하는 듯하다.
정부의 고위인사는 "세계 여론에 영향력이 매우 큰 이들의 반한(反韓) 감정,악의적인 보도가 큰 문제"라며 "우리 설명은 듣지 않고 미확인 보도를 하지만 중재나 손해배상 소송으로 대응할 수도 없고…"라며 우려했다.
사례2.이라크에서 피랍된 김선일씨가 끝내 살해된 것과 관련,중동지역 동향에 관심이 많은 한 민간 인사는 "이라크 어린이에게 축구공 보내기라는 기가막힌 소재가 현지에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이 홍보만 잘됐어도 '김선일씨 피살'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기업과 축구협회가 나선 민간차원의 자발적 행사였고 마침 이라크가 아테네올림픽에서 선전한 것과 연계됐다면 축구공 보내기 캠페인은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도움됐을 것이란 지적이다.
이라크에는 3천명이 넘는 국군도 파견된 곳이다.
사례3.국제사회에서 동해표기 문제. 도전받는 독도영유권의 외곽 요소인 동해바다 이름문제에서 정부의 노력은 충분했는가. 일부 자발적인 민간그룹의 활동보다 더 꾸준하고 치밀한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응과정에서도 사정은 달라보이지 않는다.
과거와 달리 정부가 국내홍보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편이다.
'홍보'라는 말에 과민반응까지 보일 때도 있다.
정부는 오보나 악의적 보도 대응에 열심이고,여당은 언론개혁에 치중하면서 해외홍보까지 포기한 것인가.
해외언론도 국내처럼 언론중재위나 법원만 믿은 채 악의적 보도라며 정면대응해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아닌가.
"해외홍보라도 잘하라"는 지적이 정부내에서마저 나온다.
허원순 정치부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