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중소기업 다시 뛰게 하자
입력
수정
김용구
얼마전 노무현 대통령은 중소기업을 기술혁신과 고용창출의 원천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며,이만하면 중소기업 할 만하다는 소리가 나올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대학과 연구소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성공하는 시대로 간다면서 지방대학을 잘 활용하는 기업,중소기업과 잘 협력하는 대학에 더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도 했다.
정부가 중소기업 경쟁력강화대책을 내놓고 실천을 위한 점검에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등 기업인들에게 신뢰와 용기를 북돋아주고 있어 기대가 크다. 그동안 중소기업의 체질을 기술중심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았던 만큼 중소기업 구조개선을 위한 사업전환지원에 관한 구체적 플랜이 마련될 전망이다.
중소기업이 신바람을 갖고 경영하기 위해서는 지원대책은 물론 전망과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 경쟁력을 업종이나 산업 등 하나의 기준을 적용해 한계기업이라고 정의할 수는 없다.
업종에 따라 퇴출이 불가피한 부문이 있는가 하면 같은 업종이라도 경쟁력을 갖고 세계시장에 내다 팔 수 있는 제품이 있게 마련이다.
기업이 새롭게 투자할 분야가 분명하게 있고,틈새를 공략할 만한 사업이 있는데 금융회사가 정한 잣대를 기준으로 자금을 회수하거나 투자를 중단해선 안된다.
과연 중소기업 없이 대기업이 지속 성장하고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가.
최근에 불거진 세가지 사안을 들어보자.
첫째, 올 봄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지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가격부담을 중소기업들이 납품단가에 반영하지 못하고 떠안아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엔 유화 관련제품 생산원료를 구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들이 원가상승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타격을 받고 있다.
둘째, 금융 문제다.
중소기업들은 매출액이 줄어들고 원자재 값은 오르며 판매대금 회수기간은 오히려 늘어 자금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도 금융회사들은 지점장의 여신한도를 대폭 축소,모든 여신심사권을 본부로 이관하면서 매출액이 감소하거나 수익률이 낮아질 경우 여신한도를 축소해 환수에 나섬으로써 중소기업 자금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셋째, 카드사의 수수료 인상으로 인한 영세기업과 상인의 어려움인데 서로가 어려운 경제상황에 좀더 나은 대안은 없는지 의문이다.
중소기업이 강조되는 것은 혁신적 중소기업들이 경제를 지탱해주고 불리한 경영환경에서도 기업가정신을 가진 기업이 창업돼 고용을 창출하면서 국부를 늘리는데 기여해 왔다는 점이다.
더욱이 중소기업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올 7월말까지 3조7천여억원을 대출받아 시설투자를 하는 등 투자확대와 고용창출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역동적 기업환경을 조성해 주는데 그만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을 치열한 경쟁속으로 무조건 내몰기 보다 체질을 강화시키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
최근 한국은행이 콜금리를 인하해 경기부양을 위한 시동을 걸었고 정치권에서도 서민 경제와 경제살리기를 위한 방안을 내놓고 있는 것은 좋은 조짐이다.
재정지출을 늘리든지,민간의 세부담을 줄여 소비를 늘리고,투자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중소기업으로선 환영할 만한 일이다. 지금은 기업과 일반국민들의 잃어버린 자신감을 회복시키고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게 경기회복을 위한 올바른 방향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도 신기술개발과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생존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기술력과 전략없이 미래가 보장되지 않을 것이고,누구도 도와줄 명분이 없는 까닭이다.
이런 의미에서 1백대 수출 중소기업이 상반기에 이룬 수출 증가율은 고무적이라 할수 있다.
또 경제주체 모두가 '나홀로만의 이익'을 위한 노력은 이제 그만둬야 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어려울 때일수록 상생의 관계를 성숙시켜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금융회사도 '나홀로만의 이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중소기업이 어려우면 금융회사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이 혁신을 주도하고,기술개발과 경영능력을 배양하는데 힘써 나간다면 경제의 활력은 머지않은 시기에 다시 찾아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