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1000 시대 열자] 제3부 : '선진국 투자교육 어떻게'
입력
수정
영국 국민들은 자금운용과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면 금융서비스국(FSA·Financial Service Authority)의 인터넷 사이트를 찾는다.
투자 목적과 자금의 성격,투자기간,위험도 등을 자세히 분석해 투자자들이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서다.
FSA는 저축과 투자가 다르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부터 시작한다.
저축은 짧은 시간 내 사용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남겨두는 돈이고 투자는 다소간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5년 이상 자금을 묻어두는 것이란 설명도 담고있다.
곧 사용해야 하는 돈은 금리는 낮지만 은행예금 등에 넣어 두고,나머지는 주식이나 펀드 등에 장기 투자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FSA는 지난 2000년 제정된 금융서비스와 시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소비자보호와 투자자교육 등을 전담하는 독립기구로 설립됐다.
투자자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는 금융시장과 금융산업이 건전하게 성장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영국뿐 아니다.
미국 일본 등 금융 선진국들은 투자자 교육과 관련한 특별법을 제정하고,전담부서를 설립하는 등 정부차원의 투자교육을 강화해 나가는 추세다.
최근 들어 주식투자 및 연금관리 등에 실패한 투자자들이 늘면서 사회문제가 되자 교육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있다.
민간차원의 투자자교육 역사가 80년 이상된 미국에서도 정부가 직접 나서 투자자교육을 챙기기 시작했다.
미국은 지난 2002년5월 재무부 내에 금융교육실(Office of Financial Education)을 신설했다.
앞서 1994년에는 경제교육을 학교교육의 9대 핵심 과목 중 하나로 규정한 '2000년을 향한 미국교육법'을 제정하고 경제학 교과내용의 전국표준 권고안도 마련했다.
노동부는 3천5백만명의 회원을 두고 있는 미국퇴직자협회와 함께 퇴직 후에도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컨설팅과 재무상담 금융상품추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투자와 증권시장을 포함시켰다.
투자교육에 극히 소극적인 우리 정부와는 상당한 간격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