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재테크 포인트] '부동산 거품논쟁' 핫이슈로
입력
수정
세계 부동산 시장의 동반 상승세가 꺾이면서 재연되고 있는 부동산 거품논쟁이 국내 재테크 시장에서도 최대 관심이 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부동산값이 거품이고 지금의 하락세가 거품붕괴로 이어진다면 이번 세계경기 회복은 자산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미국경기 뿐만 아니라 세계경기가 침체국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주가가 10% 상승할 경우 민간소비는 0.3% 증가한다.
반면 부동산값이 10% 오르면 민간소비가 0.6% 증가해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만큼 이번의 미국경기는 부동산값 상승에 따른 자산효과가 지탱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일단 부동산 거품이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거는 이렇다.
△가계부채가 위험수위에 와있고 △금융기관들의 주택자금 부실화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정보기술(IT)→주가→달러화 가치하락으로 이어져온 일련의 미국경제 거품붕괴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부동산 부문도 거품붕괴는 필연적이라는 시각이다.
특히 부동산 거품론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거나 고용사정 악화로 소득이 줄 경우 부채가 급증한 가계를 중심으로 보유부동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부동산 거품경고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이번의 부동산값 상승은 실수요를 반영해 투기적인 징후가 거의 없고,지금의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급격한 금리인상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아직은 우려할 만한 단계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중장기적으로 고령인구비율 증가 등 인구구성 변화로 부동산 경기는 연착륙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다.
현재 미국의 경우 가구주 연령이 45∼50세인 2천70만가구 중에서 76%, 35∼40세인 2천4백40만가구 중의 67%가 자가소유 가구인 점을 감안하면 갈수록 자가소유에 따른 주택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두 견해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분명한 사실은 이번에 부동산값 상승은 재료가 있는 지역은 설령 가격이 높다 하더라도 가격이 더 오르는 '차별화 장세(nifty-fifty)'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그만큼 투기적인 요인이 아니라 실수요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거품우려에 대한 평가는 그렇게 비관적이지 않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이른바 세계 부동산 시장의 '빅3'로 불리는 국가들의 부동산값이 금리인상을 계기로 하락세를 보이는 지금의 추세는 앞으로도 부동산담보대출의 차환(借換)이 둔화되면서 부동산 가격의 상승폭이 낮아지는 이른바 '질서있는 진정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일부에서 부동산 거품붕괴에 따른 세계적인 자산디플레와 세계경기 침체 가능성,그리고 우리 경기의 '일본식 장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현 시점에서 부동산값이 거품이고 지금의 하락세가 거품붕괴로 이어진다면 이번 세계경기 회복은 자산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미국경기 뿐만 아니라 세계경기가 침체국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주가가 10% 상승할 경우 민간소비는 0.3% 증가한다.
반면 부동산값이 10% 오르면 민간소비가 0.6% 증가해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만큼 이번의 미국경기는 부동산값 상승에 따른 자산효과가 지탱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일단 부동산 거품이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거는 이렇다.
△가계부채가 위험수위에 와있고 △금융기관들의 주택자금 부실화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정보기술(IT)→주가→달러화 가치하락으로 이어져온 일련의 미국경제 거품붕괴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부동산 부문도 거품붕괴는 필연적이라는 시각이다.
특히 부동산 거품론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거나 고용사정 악화로 소득이 줄 경우 부채가 급증한 가계를 중심으로 보유부동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부동산 거품경고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이번의 부동산값 상승은 실수요를 반영해 투기적인 징후가 거의 없고,지금의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급격한 금리인상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아직은 우려할 만한 단계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중장기적으로 고령인구비율 증가 등 인구구성 변화로 부동산 경기는 연착륙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다.
현재 미국의 경우 가구주 연령이 45∼50세인 2천70만가구 중에서 76%, 35∼40세인 2천4백40만가구 중의 67%가 자가소유 가구인 점을 감안하면 갈수록 자가소유에 따른 주택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두 견해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분명한 사실은 이번에 부동산값 상승은 재료가 있는 지역은 설령 가격이 높다 하더라도 가격이 더 오르는 '차별화 장세(nifty-fifty)'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그만큼 투기적인 요인이 아니라 실수요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거품우려에 대한 평가는 그렇게 비관적이지 않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이른바 세계 부동산 시장의 '빅3'로 불리는 국가들의 부동산값이 금리인상을 계기로 하락세를 보이는 지금의 추세는 앞으로도 부동산담보대출의 차환(借換)이 둔화되면서 부동산 가격의 상승폭이 낮아지는 이른바 '질서있는 진정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일부에서 부동산 거품붕괴에 따른 세계적인 자산디플레와 세계경기 침체 가능성,그리고 우리 경기의 '일본식 장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