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위성DMB '지상파 재송신' 놓고 표류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사업이 지상파TV 재송신 문제로 차질을 빚고 있다. 위성DMB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TU미디어는 '지상파 재송신'이 안되면 사업 자체가 어렵다는 입장인 반면 언론노조 등은 '절대불가'를 외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방송위원회는 방송법시행령이 공포된 지 20여일이 지나도록 사업자 선정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방송위원회는 5일 전체회의를 열어 위성DMB 사업자 선정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이해당사자들의 대립이 워낙 첨예해 결론을 내릴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위성DMB 방송이 올해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고개를 들고 있다. ◆지상파 재송신에 사활 건 TU미디어=TU미디어는 '지상파 재송신'이 무산될 경우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없어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자본금이 1천3백70억원인 이 회사의 올해 투자비는 2천2백70억원.하나은행 산업은행 등에서 3백억원을 차입했으나 추가 차입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은행들은 지상파 재송신이 안되면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증자도 마찬가지다. SK텔레콤을 제외한 다른 주주들은 사업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증자가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주주인 SK텔레콤은 지분을 30% 이상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증자를 추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서영길 TU미디어 사장은 물론 김신배 SK텔레콤 사장까지 나서 관련 기관에 지상파 재송신 허용을 요청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TU미디어 관계자는 "MBC와 SBS의 지상파 재송신을 허용하되 일정 시간을 지역방송 콘텐츠에 배정한다는 절충안을 방송위에 제안한 상태"라며 "이마저 거부되면 사업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사반대에 나선 언론노조=전국언론노조 방송노조협의회 지역방송협의회는 4일 기자회견을 갖고 "방송위원회가 위성DMB에 지상파 재송신을 허용하면 방송위원들에 대한 퇴진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위성DMB 시청자들이 이동상태보다 정지상태에서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방송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다"며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에 이어 위성DMB에도 지상파 재송신을 허가할 경우 지역방송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지상파DMB가 위성DMB로 인해 고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위성DMB에 대한 지상파 재송신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망=방송위원회는 최근 언론노조 등에 △지상파방송 중 생방송만 재송신하는 방안 △출범 초기에는 완전 재송신을 하다가 순차적으로 재송신 비율을 낮추는 방안 △초기 1년은 가입 대상을 수도권 거주자로 제한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모두 위성DMB에 지상파 재송신 허용을 전제로 하는 안들이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 등이 "어떤 절충안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있어 5일 전체회의에서도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원회가 5일 사업자 선정 방안을 결정하더라도 TU미디어가 위성DMB를 시작하려면 사업자 선정 공고기간 30일,심사기간 90일 등 최장 1백20일(4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물론 방송위원회는 사업자가 1개인 점을 감안,공고기간과 심사기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는 입장이지만 TU미디어가 목표로 하고 있는 11월15일 개국 계획은 이미 무산된 상태다. 한편 SK텔레콤과 공동으로 지난 3월 방송위성 한별을 쏘아올린 일본의 MBCo는 4일 방송국을 개국하고 오는 20일 세계 최초로 위성DMB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 반면 SK텔레콤은 한별을 활용하지 못해 매월 16억원의 손해를 보고 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