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大 '존립' 흔들린다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을 내세우며 지난 2001년 출범한 사이버대가 위기를 맞고 있다.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데다 불황까지 겹치면서 학생들이 등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의 경우 입학정원의 절반을 채운 사이버대학이 17곳 중 5곳에 불과할 정도로 등록률 미달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교육의 질이 높은 일부 사이버대에만 대학원 설립허용을 검토하고 있어 사이버대학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17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올 4월 기준으로 전국 17개 사이버대는 총정원 6만3천5백50명 가운데 3만4천7백61명만이 등록,편제정원(1∼4학년 정원) 대비 등록률이 54.7%에 그쳤다. 특히 올해 신입생 등록률은 더욱 낮아져 44.0%(2만3천8백명 중 1만4백59명 등록)를 기록했다. ◆등록률 5%인 곳도=편제정원 대비 등록률이 90%를 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60%를 넘는 곳은 △서울디지털대 △사이버외대 △서울사이버대 △영진사이버대 등 4곳에 불과하다. 8곳이 50%에 못 미치며 이 중 세민사이버대는 총 1천2백명의 학생 중 1백1명(8.4%)만이 등록한 상태다. 2004년 신입생 등록률을 보면 더 심각하다. 17곳 중 5곳만이 50%를 넘겼으며 세민사이버대는 5%였다. 다만 열린사이버대(2천여명)와 한성사이버대(3천9백여명) 원광사이버대(2천여명) 등 4∼5개 학교는는 시간제 등록학생이 많아 경영수지가 나쁘지 않다. 교육부는 학생 등록률이 50%만 되면 시간제 등록 등을 통해 생존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불황에 규제까지=이는 사이버대가 앞다퉈 정원을 늘렸지만 불황으로 학생은 늘고 있지 않기 때문. 교육부 관계자는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새로운 대학이 진입하고 있고 기존 대학은 앞다퉈 정원을 늘려 발생한 일"이라며 "투자여력이 사라진 대학이 나오고 있어 사이버대 구조조정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말했다. 불경기도 위기를 부채질하고 있다. 직장인이 학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불황에는 한 학기 1백만원 정도의 등록금도 부담이 된다는 것. 또 정부 규제도 한몫하고 있다. 한영호 원격대학협의회 회장(열린사이버대 총장)은 "교육부가 평생교육법에 의해 세워진 사이버대에 졸업학점 1백40학점 이수,교양필수,입학·졸업 시기 등 일반대학의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 재교육 수요를 제대로 채우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 구조조정계획 마련=교육부는 사이버대 구조조정을 위해 '원격대학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핵심 사항은 대학원 허용 여부다. 교육여건이 좋은 대학에만 대학원을 허용해 구조조정을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일반 대학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내년부터는 사이버대 졸업생이 본격적으로 배출되는 만큼 늦어도 2006년 초에는 대학원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이버대는 평생교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 수는 너무 많다"며 "앞으로 충원율 등 일정 교육여건을 충족하는 사이버대에 한해 대학원 과정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교육의 질을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