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美대선 이후 대내외 금융시장
입력
수정
미국의 대통령 선거를 목전에 두고 앞으로 미 달러화 가치와 채권값,주가가 어떻게 될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공화당의 부시 대통령과 민주당의 존 캐리 후보간의 지지율이 "박빙"인 것으로 나와 2000년 대선때와 같은 양상이 되풀이 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우려를 낳고 있다.
현 시점에서 누가 당선되든 간에 대내외 금융시장은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대부분 예측기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번 선거는 종전과 다른 점이 있다.
테러,이라크 전쟁과 같은 경제외적인 문제가 불거질 경우 캐리 후보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지다가도 경제문제가 현안이 될 경우에는 부시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지는 여론조사다.
바로 이 점이 이번 선거결과를 어느 정도 추측케 하는 대목이다.
냉전 종식 이후 치러진 미 대선에서는 경제문제가 선거결과를 좌우해 왔다.
특히 이번처럼 집권당의 재선과 결부된 선거에서는 경제고통지수(소비자물가상승률+실업률)가 집권당의 경제정책 성과를 파악하는 잣대로 삼아왔다.
양 후보간에 박빙의 지지속에 부시 대통령의 재선에 무게를 두는 것도 집권기간중 경제고통지수가 개선돼 왔기 때문이다.
미 대선 이후 대내외 금융시장은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
이 문제는 양 후보가 내걸었던 경제정책과 대선 이후 예상되는 참모진의 성향을 보면 개략적인 윤곽을 잡을 수 있다.
부시 대통령이 내걸고 있는 경제정책은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것과 크게 다른 것이 없다.
대내적으로는 감세를 골간으로 친기업.친월가 정책을 표방해 주로 "있는 계층"의 이익을 대변한다.
대외적으로는 공화당의 전통대로 "강한 미국(strong america)"을 재확인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반면 존 케리 후보의 경제정책은 부시 대통령의 실정에 맞춰진 내용이 주(主)가 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이미 위험수위가 넘었다고 보고 있는 재정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긴축재정을 강조하고 있다.
또 공화당과 마찬가지로 기업과 월가를 중시하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있는 계층보다는 "중산층 이하의 계층"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아이러니컬한 것은 대외정책에 있어서는 존 캐리 후보가 내걸고 있는 정책이 부시 진영보다 더 강한 인상을 준다는 점이다.
이미 경상수지적자가 5천억 달러가 넘어선 상황에서 미국경제의 국제적인 위상과 중장기적인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양 후보진영이 내걸고 있는 경제정책을 보면 부시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 금융시장은 지금과 커다란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민주당의 존 캐리 후보가 당선될 경우 달러가치와 채권값은 지금보다 강세를 띨 것으로 예상되나 금리인상 문제는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
최우선목표를 두고 있는 재정적자 축소를 위해 재정을 긴축적으로 운용할 경우 금리정책은 완화기조를 유지해 보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누가 당선되든 미국과 대규모 무역불균형을 기록하고 있는 중국,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는 통화가치 절상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전격적으로 단행되고 조만간 위안화 가치가 절상될 것으로 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따라서 국내금융시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우려된다.
특히 원화 가치의 절상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우리 정책당국자와 시장참여자들은 선제적인 차원에서 미 대선 이후 예상되는 미국과의 관계와 대내외 금융시장 움직임에 대비해 놓을 필요가 있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