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목민심서
입력
수정
'수령이 재물을 좋아하면 아전은 반드시 그로써 유혹할 것이다. …알지 못하면서 아는 체 술술 결재하는 건 아전의 계략에 떨어진 탓이다… 모르는 건 모른다 하고,자세한 건 물어서 사실을 파악한 뒤에 결재할 일이다. …미세한 과실과 흠은 모르는 체 덮어두라.문제를 적발할 때는 기민하기가 신(神)과 같아야 두려워할 것이다.'
다산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목민심서(牧民心書)' 이전(吏典)편에 밝힌 목민관의 태도다.
다산은 또 아전의 폐해가 극심한 건 지방관 선발시 실무와 치민(治民) 능력보다 시부(詩賦)와 씨족,당론의 준급(峻急)을 중시해 아전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데다 관리는 자주 바뀌는데 아전은 붙박이인 탓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조의 위대한 학자요 정치가였던 다산의 일생은 파란만장했다.
일찍이 문과에 급제,경기도 암행어사 병조참의에 올랐지만 가톨릭 귀의 여부를 둘러싼 문제로 좌천과 복귀를 거듭했다.
승지와 두번째 병조참의를 지냈으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돼 전남 강진으로 유배됐다.
세상의 모든 명저는 불운과 고난의 산물 내지 현실에서 소외된 자의 꿈을 담은 이상론이라고 하던가.
다산은 18년의 유배생활동안 조선과 중국의 서적을 탐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학의 학문적 체계를 집대성,'경세유표''목민심서''흠흠신서' 등 수많은 책을 써냈다.
'경세유표'는 토지제도 개혁과 상공업 진흥을 통한 부국강병책을 담은 중앙정부 개혁론,'목민심서'는 곡산부사 등을 지낸 경험과 각종 서적을 참조해 지방의 실상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방관이 부임에서 해관까지 취해야 할 태도를 담은 지방행정론이다.
다산의 실사구시 정신에 대한 재조명이 한창이다.
e메일로 다산 사상을 전하는가 하면 '목민심서'를 다시 보자는 소리도 높다.
중요한 건 다산을 다시 읽는 것보다 그 정신의 실천일 것이다.
다산은 '원정'(原政)에서 이렇게 말한다.
'정(政)은 바로잡는다(正)는 말이다.…정(政)이 없어지면 백성이 곤궁하게 마련이고 백성이 곤궁하면 나라가 가난해지고 부렴(賦斂)이 번거롭고,부렴이 번거로우면 인심이 이산되고,인심이 이산되면 천명도 가버린다.'
박성희 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