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찾기' 동행한 세남자 .. '나의 생명 이야기'
입력
수정
이 시대의 걸출한 두 과학자 황우석·최재천 교수의 글과 화가 김병종씨의 그림이 한데 모였다.
1953년생 동갑에 같은 대학에서 공부하고 그 곳 선생님까지 된 세 사람.그 인연도 흔치 않거니와 이들의 성장과정과 학문세계를 행간으로 엮고 화폭으로 삼은 신간 '나의 생명 이야기'(효형출판)도 눈길을 끈다.
어쩌면 '물과 불'의 관계인 생명공학과 생명윤리 전문가의 만남,그 동행길에 초대된 동양화가.
이들은 '생명'이란 공통 화두에 일생을 걸고 있었다.
"유년시절 '소(牛)와 평생을 함께하겠다'는 부여 파래골 촌놈(황)의 다짐은 지금까지 유효하며,나비를 쫓아다니던 강릉의 산야(최),가슴으로 흘러들던 섬진강 물줄기(김)의 추억과 흥분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절대 긴장 속 실험실과 피 튀기는 도축장,악취 풍기는 착상 시술장을 오가는 황 교수.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를 복제한 줄기세포를 배양,생명공학계에서 '만루 홈런'을 때려냈지만 처음부터 잘 닦여진 '8차선 도로'를 달려온 것은 아니다.
'다섯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을 천형처럼 짊어지고 살았다.
그렇다고 남달리 명석한 두뇌도 아니었고 배경도 없었다.
교수 임용에서 탈락하는 쓴맛도 봤다'는 고백은 진솔하다.
동물행동학자인 최 교수의 행로는 드라마틱하다.
지금은 '과학과 환경의 전도사'로 불릴 만큼 스타급 인사이지만 그의 삶 역시 굴절이 컸다.
재수할 때 쇼펜하우어에 빠졌고 2지망으로 들어간 동물학과 전공은 뒷전인 채 문과대 수업에만 몰두했다.
그러다 하루살이를 연구하던 미국인 교수 채집보조로 전국의 개울을 뒤지던 어느 날 운명적으로 '당신의 삶처럼 살겠다'고 무릎을 꿇었다.
개미와 침팬지 연구로 유명해졌고 최근엔 까치의 행태를 살피고 있다.
3백68쪽,2만원.
김홍조 편집위원 kiru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