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교육과 이념의 혼재
입력
수정
얼마 전 한국 학생들이 '1등'이라며 화려하게 보도됐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결과'에서 묻혔던 사실이 있다.
학생 전체로 보면 40개국 가운데 문제해결력 1위,읽기 2위 등 뛰어난 실력을 자랑했지만 '상위 5%' 학생만을 떼어내 비교하면 문제해결력 3위,읽기 7위 등으로 저조했다는 것.
즉 전반적인 학력수준은 높았지만 최상위권 아이들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뒤진 셈이다.
이는 30년간 지속된 고교 평준화 정책의 영향이 컸다는 게 분석을 맡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측의 분석이었다.
그래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 22일 평준화 보완을 위해 상위 5%를 대상으로 '엘리트 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하자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우리보다 앞선 서구 선진국들은 글로벌경쟁이 시대의 대세로 자리잡은 세상에서 국가나 민족의 생존을 확실하게 보장받기 위해선 이른바 '창조적 소수'를 많이 길러내는 방법 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지 오래다.
그 결과,미국이나 영국,일본에선 엘리트교육은 국가가 해야 할 핵심 교육정책으로 인식된지 오래다.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해온 유럽국가들도 이 문제만은 예외가 아니다.
이런대도 한국은 다른 목소리가 높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민주노동당은 '교육현실 외면한 빗나간 영재 만들기''국민혈세 2천억원 들여 교육차별 심화시키는 어처구니없는 발상'이라는 성명을 이날 잇따라 발표했다.
전교조 관계자는 "상류층 출신이 명문대 입학을 독점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세금으로 '부의 세습이 학력세습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만들려한다"는 저주(?)도 서슴지 않았다.
이날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가진 안병영 부총리는 '가장 힘든 점'에 대해 묻자 "우리 교육은 교육적 문제를 이념적으로 해석해 갈등이 심하다"고 말했다.
전교조와 민노당의 이날 성명이 비현실적을 넘어 상투적으로 들린 것은 기자뿐이었을까.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