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부정취업자 자수하면 선처"..검찰 이례적 조치
입력
수정
기아차 광주공장 채용 비리 사건을 수사중인 광주지검이 27일 돈을 주고 취업한 사람들이 자진 신고(자수)할 경우 선처하겠다는 '뜻밖의' 선언을 했다.
검찰의 이같은 선처 방침 천명은 그 내용이 알려지자마자 부정 입사자 4명이 잇따라 자수해 올 정도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검찰이 수사중인 사안에 대해 사건 당사자의 자수를 전제로 형사처벌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검찰의 이같은 입장은 당초 이 사건을 시작하면서 밝힌 '금품 수수'에 연루된 사람에 대해서는 준 사람이나 받은 사람 누구를 막론하고 엄단하겠다는 방침과는 사뭇 다른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1천79명이나 되는 지난해 생산계약직 입사자들을 모두 조사할 경우 수사가 장기화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가뜩이나 어려운 이 지역의 경제가 더욱 악화될 것을 감안한 것이란 분석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광주지검 관계자도 "부정 입사자 중 상당수가 자진신고를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들이 돈을 주고 입사했지만 일자리가 부족한 이 지역의 어려운 경제 사정을 감안한다면 실제로 피해자라고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금품수수 범죄의 속성상 돈을 준 사람이나 받은 사람 모두 공개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자수를 유도,수사에 신속성을 기한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그만큼 검찰로서도 이번 수사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대목으로도 볼 수 있다.
"소환해야 할 인원은 많은데 지금의 수사 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검찰 관계자의 말과 일맥상통한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