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합도시 합의 이후…] 부산.대구.광주 등 반응

충청권의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계획이 확정된 데 대해 비충청 지역의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부산 대구 광주 등 중부권에서 벗어나있는 지역의 많은 전문가들은 "연기·공주에 수도 기능의 절반을 이전하는 것은 수도권의 확장에 다름아니다"면서 "서울과 경기지역이 반발할 일이 아니라 비충청권 지방들이 걱정할 일"이라고 지적한다. 이들은 "서울에서 중부권에 이르는 거대 수도권의 강력한 흡인력으로 인해 부산 대구 광주 등지는 더욱 위축될 수도 있다"고 걱정한다. 이같은 시각에 비춰볼 때 앞으로 행정도시 건설이 본격화되면 비충청권지역의 추가 지원 및 각종 정부 기능의 이전 요구가 봇물을 이루면서 전국적으로 이전투구가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부산의 지역 전문가들은 "부산항이 이미 컨테이너 물동량 경쟁에서 중국에 밀리기 시작했는데 앞으로 충청권이 기존의 수도권과 합쳐지면 인천항 평택항이 활성화되면서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 경우 부산의 동북아 허브항만 계획은 물 건너가게 될 수 있다"고 걱정한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대구는 내륙물류중심으로 발전하기 위해 사통팔달의 고속도로망을 구축했으나 수도권이 남하할 경우 오히려 더욱 급속하게 수도권에 성장잠재력을 빼앗기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홍 원장은 "정부는 충청권 이외 지역에 대한 보완책으로 12개 공공기관을 비충청권으로 옮긴다고 하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사를 가봐야 현지의 고용 창출 효과는 미미하고 '직장은 지방,자녀 교육과 생활은 서울'이라는 이른바 '주말 가족' 현상이 전국적으로 빚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이런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선 비충청권에 고부가가치의 첨단 서비스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하는데 이 역시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지적들이다. 수도 기능의 절반을 빼앗기게 되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경제력 공동화를 만회하기 위해 금융 패션 첨단 연구·개발(R&D)센터와 각종 서비스산업 육성에 전력 투구할 것이기 때문에 지방의 테크노파크 및 서비스 산업 육성은 오히려 더 위축될 수도 있다. 정부로서도 수도 기능의 절반을 지방으로 옮기는 이상 서울 경기지역이 미래산업 및 서비스산업 등에 집중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동안 수도권 규제 및 시장 진입 장벽에 막혀 가지 못했던 광주·대구 등 비충청권 기업들이 충청권으로 옮겨가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어 비충청권 지자체들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행정기능을 충청권으로 옮기는 대신 기업은 다른 지역으로의 이전을 권장하지만 현실은 반대다. 지난해 수도권 기업 지방 이전은 총 22건이었는데 충청권 16개,강원 2개,호남 3개,제주도 1개로 충청권 선호현상이 벌써 두드러지고 있다. 부산=김태현·대구=신경원·광주=최성국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