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역사적 최저 수준..株價 추가상승 여력 충분"
입력
수정
종합주가지수가 1,000을 돌파한 이후에도 상승세를 지속하자 조정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주식시장 전체는 물론 주요 기업들의 주가 수준이 역사적으로 가장 싼 상태여서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는 분석이 제기돼 주목된다.
6일 대우증권과 UBS증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주식시장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8배로 과거 세 차례 1,000포인트를 넘어섰을 때와 비교하면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처음 1,000선을 돌파했던 지난 94년의 경우 PER가 17.2배였고,99년과 2000년에는 각각 14.1배,18.8배에 이르렀다.
장영우 UBS증권 한국지점장은 "과거 세 차례와 비교해 주가는 1,000 수준으로 비슷하지만 기업들의 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난 만큼 저평가 상태는 더욱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의 올 이익 전망치가 94년에 비해서는 8배,99년 대비 3배,2000년 대비 2.5배 더 높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주요기업 PER,최저 수준
삼성전자의 경우 이번 1,000 돌파 때 주가(2월28일 52만7천원)는 94년 9월16일 당시(14만9천원)에 비해 3배 이상 상승했지만 PER는 당시 10.3배에서 8.9배로 오히려 낮아졌다.
주가 오름 폭 이상으로 실적이 향상됐기 때문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도 당시 3.6배에서 현재 2.3배로 하락한 상태다.
순자산 대비 주가 저평가가 더 심화됐다는 얘기다.
POSCO도 주가가 94년 8만6천원선에서 99년 16만8천원,현재 22만원대로 꾸준히 올랐지만 PER는 20.8배(94년)→10.4배(99년)→4.3배(2005년)로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주가는 최근 10여년 동안 3배 가까이 급등했지만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은 당시의 5분의 1 정도에 불과한 셈이다.
이밖에 한국전력의 경우 PER가 24.7배→21.2배→5.7배로,현대차는 20.5배→13.4배→7.7배로,SK㈜는 36.7배→9.4배→6.1배로 떨어진 상태다.
홍성국 대우증권 투자분석부장은 "기업들의 주가지표를 보면 PER와 PBR뿐 아니라 자기자본이익률(ROE),법인세 이자 및 감가상각비 차감전 이익(EV/EBITDA) 등에서도 주가가 역사적 최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랠리 더 이어진다
장 지점장은 "과거 지수 1,000 돌파 시점과 주가지표 등을 기준으로 펀더멘털(내재가치)을 비교하면 현재는 랠리의 시작일 뿐"이라며 "한국 증시는 앞으로 1∼2년간 장기 랠리를 이어갈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저평가된 주가지표 외에도 △올 2분기부터 기업들의 실적 회복 전망 △채권에서 주식으로 이동 중인 국내 유동성 △선진7개국(G7) 경기선행지수 바닥 통과 등을 감안하면 한국 증시 전망은 더욱 밝다고 강조했다.
내수 소비가 과거 지수 1,000 돌파 때는 최고조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바닥인 점도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장 지점장은 내수와 G7 경기선행지수가 동시에 회복세로 접어들 경우 자동차와 백화점 등 경기민감 소비주,기술주와 기초소재주 등이 유망하다고 조언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