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서비스' 경쟁력을 키우자] (1) '동북아 허브' 되려면
입력
수정
"한국이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비싼 주거 비용과 의사 소통의 어려움,열악한 교육환경 등을 무엇보다 시급히 개선해야 합니다"
비즈니스를 위해 현재 한국에 거주중인 외국인들은 한국경제신문사가 서울 등 한국 대도시의 생활서비스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한 좌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이들은 거리 등 도시환경이 비교적 깨끗하고 강력 범죄 발생률이 낮은 점 등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줬다.
좌담회는 지난 18일 본사 회의실에서 피터 넬슨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스티브 맥키니 맥키니 컨설팅 대표,디히터 슈미츠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 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좌담회 내용을 정리한다.
-한국에서 외국인으로 살아가는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넬슨=서울에서 생활한지 10년 가까이 됩니다.
주거환경을 놓고 보자면 다른 아시아 도시들과 비교할 때 대중교통이 편하고 환경도 깨끗합니다.
밤에도 마음놓고 다닐 수 있어요.
하지만 주거비용이 비싸고 시내 공원이 적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집 값은 어떻습니까.
1∼2년치 월세를 미리 내야하는 깔세(keymoney) 부담이 크지 않은지요.
△슈미츠=유럽 기업인들 사이에서는 이른바 '깔세 괴담'(horrible story)을 흔하게 들을 수 있어요.
렌트비가 너무 비싼 데다 보증금조로 한두달치도 아닌 2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것은 너무 불합리합니다.
△맥키니=한국이 더 많은 외국투자를 끌어들이려면 월세가 활성화돼야 할 것 같습니다.
깔세 시스템이 불합리하고 주거 비용이 비싸다 보니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 인원을 보낼 때 숫자를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어요.
-가족과 함께 오려면 아무래도 병원이나 교육 인프라가 문제가 될 듯 합니다만.
△맥키니=한국의 의료 수준은 대단히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일류 대학병원에도 영어소통이 가능한 의사나 간호사가 거의 없습니다.
앰뷸런스 구조대원도 영어를 하는 사람이 없는 데 응급상황에서 말이 안통해 제대로 처치를 못받는 경우를 생각하면 불안하기 이를 데 없지요.
△넬슨=서울의 대형 병원에서는 그럭저럭 소통이 된다고 하지만 서울을 벗어나면 외국인이 병원에서 제대로 된 진료를 받기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교육 등 다른 애로점은.
△맥키니=한국에 가족과 함께 오려고 할 때 제일 걸리는 문제가 자녀교육입니다.
저 같은 경우 아이가 두명인 데 한명은 일본에,한명은 미국에 보냈었어요.
△넬슨=외국인에 대한 배타적인 시선도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한국말을 못하는 외국인에 대해 불친절하고 마음을 열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맥키니=포천 5백대 기업 중에 2백63개가 한국에 들어와 있는 만큼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보다 힘을 쏟을 때예요.
여전히 한국 기업과 외국기업에 차별적인 시선이 존재합니다.
△슈미츠=한국이 동북아 허브가 되려면 과감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합니다.
일부를 경제자유구역화할 것이 아니라 아예 한국 전체를 경제구역으로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말이에요.
정리=김혜수·송형석 기자 dear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