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자본확충 '브레이크'
입력
수정
교보생명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정관 개정을 추진했으나 주식가치 희석을 우려하는 자산관리공사 등의 반대로 일단 무산됐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이날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정관 개정안을 상정했으나 37%의 지분 행사권을 가진 자산관리공사와 대우인터내셔널 등의 반대로 부결됐다.
교보생명이 상정한 정관 개정안은 자본 확충을 위해 제3자 배정 방식의 증자가 가능토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발행 예정주식수를 늘리고 △우선주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환사채(CB) 및 신주인수권부사채(BW)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또 경영진에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중간 배당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자산관리공사 등은 그러나 제3자 배정 방식의 증자를 할 경우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치가 떨어진다며 반대했다.
정관 개정을 위해선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자산관리공사는 교보생명이 상속세로 물납한 지분 외에 대우인터내셔널(지분율 24%) 및 김우중 전 대우 회장(11%)의 교보생명 지분에 대해 질권을 설정,실질적으로 37%가량의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자본 확충 수단을 다양화하고 주주의 권익을 보호하며 경영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정관 개정안을 상정했다"며 "이는 삼성생명이나 대한생명 정관에 이미 담겨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 같은 취지를 자산관리공사에 설명,이달 말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까지는 원만히 해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익원·하영춘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