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지배구조 '3권 분립형' 적절..연세대 상남경영원 포럼 주제발표
입력
수정
10일 연세대 상남경영원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연세대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 기업과 지배구조 포럼'에서 신현한 연세대 교수(경영학?사진)는 주제발표를 통해 "각국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들의 지배구조에는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본시장이 개방되면서 기업들의 지배구조도 미국식 주주자본주의 모델(외부통제형)에 가까워질 것이란 일부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분산된 소유구조와 소액주주의 권익 보호 등을 골자로 하는 미국식 지배구조 모델을 실제로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며 "독일 프랑스 일본 등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기업들은 전혀 다른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나라는 가족 관계회사 등 내부 지분율이 높고,공개된 자본시장보다 은행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내부통제형'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신 교수는 한국의 경우 정치적?문화적 성숙도나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그리고 기관투자가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영?미식 지배구조 모델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한국은 지배주주와 전문경영인이 기업경영을 책임지고(행정부 역할),주주총회가 경영진을 견제하며(입법부 역할),기관과 M&A시장은 기업지배구조가 제대로 작동되도록 감시하고 처벌하는(사법부 역할) '3권 분립형' 지배구조가 적절하다는 것이다.
한편 신 교수는 "대기업보다 정부와 시민단체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준재벌이나 중소기업의 지배구조가 더 취약하다"며 "이들 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지배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의 지배구조 개혁도 법과 규제를 통한 강제적인 방식보다는 기업들의 자율적 의지를 북돋우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