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4일자) 대안없는 시민운동은 이제 그만

한덕수 경제부총리가 어제 시민단체 대표들을 만나 "대안(代案)없는 정책비판은 경제에 치명타를 안길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했다. 얼마전 5ㆍ18 기념식에서 노무현 대통령도 "시민사회도 대안을 내놓는 창조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시민단체들의 '대안 없는 비판'은 이제 정부조차 우려할 수준에 온 것 같아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시민단체들의 무책임한 요구로 적지않은 피해를 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공사가 착공된 이후 시민단체의 반발로 사업이 지연되는 국책사업만도 현재 새만금간척사업, 천성산터널, 사패산터널, 경인 운하 등 5개로 공사지연으로 인한 손실액만 4조2000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수 있는 이들 공사를 재개하면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가량 높아진다는 분석도 있을 정도이니 경제적인 손실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물론 시민단체들의 주장도 나름대로 일리는 있다. 하지만 대안 없는 비판만 반복한다면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도롱뇽을 보호하기 위해 터널공사를 막으려면 다른 고속철도 노선을 제시해야 하고,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반대한다면 별도의 에너지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단지 '나중에 하자' '아껴쓰자'는 식의 운동은 이제 공감을 얻기 힘들다.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앞당긴 시민운동이 지금도 상당부문 부정부패를 방지하고 사회를 정화(淨化)하는 소금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점점 전문화 다원화 되는 사회에서 그런 순수한 기능이 유지되려면 그에 걸맞은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도 각종 사업의 검토단계에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하겠지만 일단 사업이 확정되면 원칙을 갖고 일관성있게 집행해야 한다. 그래야 시민운동도 건전해지고 정부 정책도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