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양성 인증제시대] (上) 인재강국, 기업이 나서야
입력
수정
이태백(20대 태반이 백수),삼팔선(38세 퇴출),사오정(45세 정년),오륙도(56세까지 근무하면 도둑).우리나라 인력시장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행어이다.
일자리를 찾지 못한 대졸자들이 급증하면서 청년 실업률은 7~8%에 달하고 있다.
직장인들도 상시화된 구조조정 때문에 퇴출 위기에 떨고 있다.
특히 한번 직장을 잃으면 재교육 및 재훈련 부족과 노동시장의 경직성 때문에 일자리를 얻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경제발전의 최대 밑천이 '인재'였다는 점에서 이는 곧 '주식회사 한국'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규 채용자 비율 급락
1997년 외환위기는 기업의 인적자원 투자 형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외환위기 이전까지만 해도 사원 재교육에 힘쓰던 기업들이 수익 위주의 경영에 나서면서 교육투자비 비중을 줄이기 시작한 것.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10명 이상 전체 기업의 1인당 교육 훈련비는 1996년 3만9000원에서 4만9600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노동비용 총액에서 차지하는 교육훈련비의 비중은 96년 2.1%에서 2003년 1.5%로 줄었다.
대기업(300명 이상)은 같은 기간 2.2%에서 1.6%로, 중소기업(10∼299명)은 0.7%에서 0.4%로 각각 줄었다.
또 교육투자에 대한 부담을 덜기위해 신입사원을 뽑기보다는 이미 훈련이 된 경력직이나 임시직 등을 쓰는 경향도 확산되고 있다.
신규 채용자 비율은 1996년 65.2%에서 2002년 18.2%로 뚝 떨어진 반면 경력자는 34.8%에서 81.8%로 높아졌다.
근로자 중 정규직 비율도 58.1%(1995년)에서 41.9%(2002년)로 낮아졌다.
이언오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기업도 장기적으로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당장 먹고 살기 빡빡하다보니 인력 투자를 줄이는 것"이라며 "정부가 교육 인프라를 마련해주고 재교육비에 대해 세제혜택을 주는 등 기업들의 인적투자를 지원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훈련 투자가 효율적
전문가들은 이런 교육훈련비 감축이 중장기적으로 기업은 물론 국가경제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장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고려대 교수)은 "사회교육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교육훈련비를 줄이면 인적자원을 주무기로 해왔던 한국의 경쟁력은 심대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1999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시설투자 10% 증액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3.6%이지만 교육훈련투자 10% 증가에 의한 생산성 증가는 8.4%에 달한다.
장상수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선진기업을 보면 훈련투자비와 매출액 총이익률, 자산수익률, 직원 1인당 이익,주가순자산비율 등이 정비례한다"고 말했다.
특히 제너럴일렉트릭(GE) 화이자(Pfizer)등은 핵심인력의 이직을 막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광범위하게 운용하고 있다.
삼성그룹도 직원 1인당 100만원의 교육비(2004년 기준)를 투자하고 있다.
○인적자원 인증은 세계적 추세
정부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인증제를 도입하기로 한 것은 기업의 인적자원 투자 의지를 북돋우기 위해서다. 김광조 교육부 총괄국장은 "기업의 인력에 대한 투자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기업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관련 인증은 세계적 추세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영국과 네덜란드, 싱가포르 등 20여개국이 이런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인증받은 기업이 2003년 현재 3만4000여개에 달한다 특히 인증기업의 평균 수익률은 7.16%이지만 불참 기업은 3.78%에 그친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