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하이닉스의 오판
입력
수정
하이닉스반도체가 5억달러 규모의 해외채권 발행을 기어이 관철시켰다.
연 10% 이상의 고금리를 부담하고서다.
바로 한 달 전 LG전자가 같은 시장에서 발행한 채권보다 5%포인트나 높은 금리 조건이다.
하이닉스가 해외채권 발행을 강행한 것은 구조조정촉진법을 조기 졸업하기 위한 것이다.
내년 말로 예정된 경영정상화 시한을 1년6개월 이상 앞당겨 한시라도 빨리 경영의 자율권을 확보하고 새로운 출발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그 방식이 10%의 고금리를 지불하는 것이라면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지난 몇년간 임금동결을 감수한 종업원,헐값에 출자전환을 한 채권단,알토란같은 주식을 감자당한 소액주주들 등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희생과 양해 속에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기에 특히 그렇다.
하이닉스는 현재 국제신용등급이 '투자 부적격'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설명한다.
또 애초에 채권단과 경영정상화 조건으로 합의한 '리파이낸싱'(기존 채무를 상환한 뒤 새로운 차입을 일으키는 것)의 틀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과정이라고 해명한다.
그러나 현재 하이닉스의 재무구조나 수익 창출능력으로 볼 때 '투자 적격'으로의 신용등급 상승은 시간문제다.
굳이 투자 부적격 상태에서 채권 발행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회사측은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이번 채권 발행을 위해 신용등급을 두 단계나 올려줬다고 하지만 그 결과가 고작 이런 정도란 말인가.
게다가 하이닉스는 당장 달러화 표시 자금을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다.
우리 외환 당국은 넘쳐나는 달러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부동산 매입 규제까지 풀어놓은 상태다.
국내 은행들이 장기 대출을 꺼린다는 이유도 대고 있지만 산업은행 등은 (비록 담보를 요구하긴 했지만) 만기 7년 이상의 대출을 해줄 용의가 있음을 밝힌 적이 있다.
결과적으로 리파이낸싱을 자금조달 형편이 상이한 국내와 해외 부문으로 나눠 추진하겠다는 발상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
하이닉스는 사실상 이미 정상화된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인 데도 구촉법 졸업이라는 형식 논리와 시한에 스스로 발목이 묶여 많은 이들을 실망케하고 있다.
조일훈 산업부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