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거꾸로 가는 中 문화산업
입력
수정
요즘 중국에서 흔하게 눈에 띄는 것 중 하나가 인터넷방이다.
PC 몇 대 정도 갖다 놓고 영업하는 시골의 허름한 인터넷방에서부터 창사시(市)가 이달 초 승인한 5성급 인터넷방까지 형태도 다양하다.
중국 인터넷 인구가 1억명을 돌파,인터넷방 시장은 전망이 밝다는 분석이다.
이런 인터넷방이 이젠 외국기업의 금지영역이 됐다.
중국의 문화부 상무부 등 5개 부처가 이달 초 외국기업의 문화산업 진입을 종전보다 더 제한하는 새 규정을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인터넷방뿐 아니다.
중국 정부의 새 규정은 신문사를 비롯해 TV와 라디오방송국 영화제작사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SP) 등까지 외국기업이 진입할 수 없는 영역으로 제시됐다.
중국의 문화시장 개방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의 권기영 중국사무소장은 "이번 조치는 중국 당국이 작년 가을 TV와 영화 등에서 일부 개방을 허용했던 흐름과 완전히 배치된다"며 "주변국가들과의 마찰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새 규정은 문화산업의 하드웨어는 일부 개방하지만 소프트웨어는 계속 움켜쥐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인쇄소와 음반제작공장 진입은 허용하면서 출판사와 음반제작업을 금지영역에 넣은 게 대표적이다.
정기간행물 유통 등 일부 부문에서는 외국기업 진입을 허용하고 있지만 중국 언론도 "문화영역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휴식기에 진입하게 됐다"고 인색한 평가를 내놓을 정도다.
중국은 "문화는 경제와 다르기 때문에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다고 개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중국은 문화산업 경쟁력 제고를 외친다.
하지만 문화 경쟁력의 열쇠는 폐쇄가 아닌 개방에 있다는 사실은 한국의 사례만 봐도 알 수 있다.
'한류'의 경쟁력은 일본문화에 대한 과감한 개방 등에서 비롯된 자생력 강화를 통해 한층 탄탄해 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오는 11월 중국 청두에서는 한·중·일 문화당국자들과 업계 대표들이 모여 문화교류 촉진을 위한 포럼을 갖는다.
중국 정부가 발상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